아름다운 삶을 위해/宗敎, 經典

神 GOD -창조 의지자는 곧 법칙이요 진리요 로고스라 생각한다.

hanngill 2010. 6. 2. 13:03

* 존재는 우연히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법칙에 따라 있다고 본다.

우연이라면 아무렇게나 있을 것이다. 그리나 모든 존재가 어떤 법칙아래 질서있게 존재한다.

인간은 피조물이다. 스스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창조의 원천을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가 그 어떤 의지자를 '신', ' the God' 라고 칭하고 있다.

실로 창조 의지자는 곧 자연 법칙이요 진리요 로고스 이다.

이제는 맹신적 절대자 신을 앞세우지 말고 인간 이성적 종교로 발전해야 한다.

창조 의지자가 사랑을 모든 존재의 근본으로 하고 있다는 우리 인간의 해석이다.

사랑을 기본으로 하고  이  존재 법칙에 따라 사는 것이 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진리요 길이요 생명이란 이런 뜻이다.

지구상의 여러지역의 여러 사람들이 제 각각 신에 관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서로 배타적으로 나가고 있는데 잘 못이 있다.

크게 보면 다 같다. 서로 통함이 있다. 종교는 인류의 문화이다. 우주의 모든 인류는 똑 같은 피조물이다.

서로 존중하고 행복한 인간 삶을 무엇보다 더 중시해야 한다.

자연을 경외하고 자연의 존재법칙에 순응하고 자연을 사랑하고, 

모든 생명체를 귀히 여기고, 인간끼리 서로 사랑하고 위하며 살아야 한다.

 

- hanngil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God is the English name given to the singular omnipotent being in theistic and deistic religions (and other belief systems) who is either the sole deity in monotheism, or a single deity in polytheism.[1]

 

God is most often conceived of as the supernatural creator and overseer of the universe.

Theologians have ascribed a variety of attributes to the many different conceptions of God.

The most common among these include  omniscience, omnipotence, omnipresence, omnibenevolence (perfect goodness), divine simplicity, and eternal and necessary existence.

God has also been conceived as being incorporeal, a personal being, the source of all moral obligation, and the "greatest conceivable existent".[1]

These attributes were all supported to varying degrees by the early Jewish, Christian and Muslim theologian philosophers, including Maimonides,[2] Augustine of Hippo,[2] and Al-Ghazali,[3] respectively.

 

Many notable medieval philosophers and modern philosophers developed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3] Many notable philosophers and intellectuals have, in contrast, developed arguments against the existence of God.

Etymology and usage

The earliest written form of the Germanic word god comes from the 6th century Christian Codex Argenteus.

The English word itself is derived from the Proto-Germanic * ǥuđan.

Most linguists agree that the reconstructed Proto-Indo-European form * ǵhu-tó-m was based on the root * ǵhau(ə)-, which meant either "to call" or "to invoke".[4] * 부르는 존재, 즉  '오 하느님!'  '나의 이여!'

 

The Germanic words for god were originally neuter—applying to both genders—

but during the process of the Christianization of the Germanic peoples from their indigenous Germanic paganism, the word became a masculine syntactic form.[5]

 

The capitalized form God was first used in Ulfilas's Gothic translation of the New Testament, to represent the Greek Theos.

In the English language, the capitalization continues to represent a distinction between monotheistic "God" and "gods" in polytheism.

[6][7] In spite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ligions such as Christianity, Islam, Hinduism, the Bahá'í Faith, and Judaism, the term "God" remains an English translation common to all. The name may signify any related or similar monotheistic deities, such as the early monotheism of Akhenaten and Zoroastrianism.

 

When used in English within a community with a common monotheistic background, "God" always refers to the deity they share. Those with a background in different Abrahamic religions will usually agree on the deity they share, while still differing on details of belief and doctrine—they will disagree about attributes of [the] God, rather than thinking in terms of "my God" and "your (different) God".

Names of God

Conceptions of God can vary widely, but the word God in English—and its counterparts in other languages, such as Latinate Deus, Greek Θεός, Slavic Bog, Sanskrit Ishvara, or Arabic Allah—are normally used for any and all conceptions.

The same holds for Hebrew El, but in Judaism, God is also given a proper name, the tetragrammaton (usually reconstructed as Yahweh or YHWH), believed to be a mark of the religion's henotheistic origins. In many translations of the Bible, when the word "LORD" is in all capitals, it signifies that the word represents the tetragrammaton.[8]

God may also be given a proper name in monotheistic currents of Hinduism which emphasize the personal nature of God, with early references to his name as Krishna-Vasudeva in Bhagavata or later Vishnu and Hari.[9] For aboriginal Guanches (Tenerife, Spain) God is called Achamán.[10]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roper names and epitheta of God, such as the names and titles of Jesus in the New Testament, the names of God in the Qur'an, and the various lists of the thousand names of Hindu gods and List of titles and names of Krishna in Vaishnavism.

Throughout the Hebrew and Christian Bible there are many names for God that portray his (God is always characterised as male) nature and character. one of them is elohim,[11][12] which has been argued to mean “strong one”[citation needed], among other things, although the etymology is debated and obscure. Another one is El Shaddai, meaning “God Almighty”.[13] A third notable name is El Elyon, which means “The Most High God”.[14]

Conceptions of God

 

Conceptions of God vary widely. Theologians and philosophers have studied countless conceptions of God since the dawn of civilization.

The Abrahamic conceptions of God include the monotheistic definition of God in Judaism,

the trinitarian view of Christians, and

the Islamic concept of God.

The dharmic religions differ in their view of the divine:

views of God in Hinduism vary by region, sect, and caste, ranging from monotheistic to polytheistic to atheistic;

the view of God in Buddhism is almost non-theist. In modern times, some more abstract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process theology and open theism.

Conceptions of God held by individual believers vary so widely that there is no clear consensus on the nature of God.[15]

The contemporaneous French philosopher Michel Henry has however propo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definition of God as phenomenological essence of Life.[16]

Existence of God

Many arguments which attempt to prove or disprove the existence of God have been proposed by philosophers, theologians, and other thinkers for many centuries.

In philosophical terminology, such arguments concern schools of thought on the epistemology of the ontology of God.

There are many philosophical issues concerning the existence of God. Some definitions of God are sometimes nonspecific, while other definitions can be self-contradictory.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typically include metaphysical, empirical, inductive, and subjective types, while others revolve around holes in evolutionary theory and order and complexity in the world.

Arguments against the existence of God typically include empirical, deductive, and inductive types.

 

Conclusions reached include:

"God does not exist" (strong atheism);

"God almost certainly does not exist"[17] (de facto atheism);

"no one knows whether God exists" (agnosticism);

"God exists, but this cannot be proven or disproven" (weak theism); and

"God exists and this can be proven" (strong theism).

There are numerous variations on these positions.

Theological approaches

Theologians and philosophers have ascribed a number of attributes to God, including omniscience, omnipotence, omnipresence, perfect goodness, divine simplicity, and eternal and necessary existence. God has been described as incorporeal, a personal being, the source of all moral obligation, and the greatest conceivable being existent.[1] These attributes were all claimed to varying degrees by the early Jewish, Christian and Muslim scholars, including St Augustine,[2] Al-Ghazali,[3] and Maimonides.[2]

Many medieval philosophers developed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3] while attempting to comprehend the precise implications of God's attributes. Reconciling some of those attributes generated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s and debates. For example, God's omniscience may seem to imply that God knows how free agents will choose to act. If God does know this, their apparent free will might be illusory, or foreknowledge does not imply predestination; and if God does not know it, God may not be omniscient.[18]

However, if by its essential nature, free will is not predetermined, then the effect of its will can never be perfectly predicted by anyone, regardless of intelligence and knowledge. Although knowledge of the options presented to that will, combined with perfect-infinite intelligence, could be said to provide God with omniscience if omniscience is defined as knowledge or understanding of all that is.

The last centuries of philosophy have seen vigorous questions regarding the arguments for God's existence raised by such philosophers as Immanuel Kant, David Hume and Antony Flew, although Kant held that the argument from morality was valid. The theist response has been either to contend, like Alvin Plantinga, that faith is "properly basic"; or to take, like Richard Swinburne, the evidentialist position.[19] Some theists agree that none of the arguments for God's existence are compelling, but argue that faith is not a product of reason, but requires risk. There would be no risk, they say, if the arguments for God's existence were as solid as the laws of logic, a position summed up by Pascal as: "The heart has reasons which reason knows not of."[20]

Most major religions hold God not as a metaphor, but a being that influences our day-to-day existences. Many believers allow for the existence of other, less powerful spiritual beings, and give them names such as angels, saints, djinni, demons, and devas.

Theism and Deism

Theism generally holds that God exists realistically, objectively, and independently of human thought; that God created and sustains everything; that God is omnipotent and eternal; personal and interacting with the universe through for example religious experience and the prayers of humans.[21] It holds that God is both transcendent and immanent; thus, God is simultaneously infinite and in some way present in the affairs of the world.[22] Not all theists subscribe to all the above propositions, but usually a fair number of them, c.f., family resemblance.[21] Catholic theology holds that God is infinitely simple and is not involuntarily subject to time. Most theists hold that God is omnipotent, omniscient, and benevolent, although this belief raises questions about God's responsibility for evil and suffering in the world. Some theists ascribe to God a self-conscious or purposeful limiting of omnipotence, omniscience, or benevolence. Open Theism, by contrast, asserts that, due to the nature of time, God's omniscience does not mean the deity can predict the future. "Theism" is sometimes used to refer in general to any belief in a god or gods, i.e., monotheism or polytheism.[23][24]

 

Deism holds that God is wholly transcendent: God exists, but does not intervene in the world beyond what was necessary to create it.[22] In this view, God is not anthropomorphic, and does not literally answer prayers or cause miracles to occur. Common in Deism is a belief that God has no interest in humanity and may not even be aware of humanity.

 

Pandeism and Panendeism, respectively, combine Deism with the Pantheistic or Panentheistic beliefs discussed below.

History of monotheism

 

Some writers such as Karen Armstrong believe that the concept of monotheism sees a gradual development out of notions of henotheism and monolatrism. In the Ancient Near East, each city had a local patron deity, such as Shamash at Larsa or Sin at Ur. The earliest known claims of global supremacy of a specific god date to the Late Bronze Age, with Akhenaten's Great Hymn to the Aten, and, depending on dating issues, Zoroaster's Gathas to Ahura Mazda. Currents of monism or monotheism emerge in Vedic India in the same period, with e.g. the Nasadiya Sukta. Philosophical monotheism and the associated concept of absolute good and evil emerges in Classical Antiquity, notably with Plato (c.f. Euthyphro dilemma), elaborated into the idea of The one in Neoplatonism.

According to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The lack of cohesion among early Hebrews made monotheism – even monolatry, the exclusive worship of one god among many – an impossibility...And even then it can be argued that the firm establishment of monotheism in Judaism required the rabbinical or Talmudic process of the first century B.C.E. to the sixth century C.E.".[25] In Islamic theology, a person who spontaneously "discovers" monotheism is called a ḥanīf, the original ḥanīf being Abraham.

Austrian anthropologist Wilhelm Schmidt in the 1910s postulated an Urmonotheismus, "original" or "primitive monotheism", a thesis now widely rejected in comparative religion but still occasionally defended in creationist circles.

Monotheism and pantheism

Monotheists hold that there is only one god, and may claim that the one true god is worshiped in different religions under different names. The view that all theists actually worship the same god, whether they know it or not, is especially emphasized in Hinduism[26] and Sikhism.[27] Adherents of different religions, however, generally disagree as to how to best worship God and what is God's plan for mankind, if there is one.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reconciling the contradictory claims of monotheistic religions. one view is taken by exclusivists, who believe they are the chosen people or have exclusive access to absolute truth, generally through revelation or encounter with the Divine, which adherents of other religions do not. Another view is religious pluralism. A pluralist typically believes that his religion is the right one, but does not deny the partial truth of other religions. An example of a pluralist view in Christianity is supersessionism, i.e., the belief that one's religion is the fulfillment of previous religions. A third approach is relativistic inclusivism, where everybody is seen as equally right; an example in Christianity is universalism: the doctrine that salvation is eventually available for everyone. A fourth approach is syncretism, mixing different elements from different religions. An example of syncretism is the New Age movement.

Pantheism holds that God is the universe and the universe is God, whereas Panentheism holds that God contains, but is not identical to, the Universe;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are subtle. It is also the view of the Liberal Catholic Church, Theosophy, some views of Hinduism except Vaishnavism which believes in panentheism, Sikhism, some divisions of Buddhism, some divisions of Neopaganism and Taoism, along with many varying denominations and individuals within denominations. Kabbalah, Jewish mysticism, paints a pantheistic/panentheistic view of God — which has wide acceptance in Hasidic Judaism, particularly from their founder The Baal Shem Tov — but only as an addition to the Jewish view of a personal god, not in the original pantheistic sense that denies or limits persona to God.

Dystheism and nontheism

Dystheism, related to theodicy is a form of theism which holds that God is either not wholly good or is fully malevolent as a consequence of the problem of evil. one such example would be Satanism or the Devil.

Nontheism holds that the universe can be explained without any reference to the supernatural, or to a supernatural being. Some non-theists avoid the concept of God, whilst accepting that it is significant to many; other non-theists understand God as a symbol of human values and aspirations. Many schools of Buddhism may be considered non-theistic.

Non-religious views regarding God

Stephen Jay Gould proposed an approach dividing the world of philosophy into what he called "non-overlapping magisteria" (NOMA). In this view, questions of the supernatural, such as those relating to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are non-empirical and are the proper domain of theology. The methods of science should then be used to answer any empirical question about the natural world, and theology should be used to answer questions about ultimate meaning and moral value. In this view, the perceived lack of any empirical footprint from the magisterium of the supernatural onto natural events makes science the sole player in the natural world.[28]

Another view, advanced by Richard Dawkins, is that the existence of God is an empirical question, on the grounds that "a universe with a god would be a completely different kind of universe from one without, and it would be a scientific difference."[17]

Carl Sagan argued that the doctrine of a Creator of the Universe was difficult to prove or disprove and that the only conceivable scientific discovery that could challenge it would be an infinitely old universe.[29]

Anthropomorphism

Pascal Boyer argues that while there is a wide array of supernatural concepts found around the world, in general, supernatural beings tend to behave much like people. The construction of gods and spirits like persons is one of the best known traits of religion. He cites examples from Greek Mythology, which is, in his opinion, more like a modern soap opera than other religious systems.[30] Bertrand du Castel and Timothy Jurgensen demonstrate through formalization that Boyer's explanatory model matches physics' epistemology in positing not directly observable entities as intermediaries.[31] Anthropologist Stewart Guthrie contends that people project human features onto non-human aspects of the world because it makes those aspects more familiar. Sigmund Freud also suggested that god concepts are projections of one's father.[32]

Likewise, Émile Durkheim was one of the earliest to suggest that gods represent an extension of human social life to include supernatural beings. In line with this reasoning, psychologist Matt Rossano contends that when humans began living in larger groups, they may have created gods as a means of enforcing morality. In small groups, morality can be enforced by social forces such as gossip or reputation. However it is much harder to enforce morality using social forces in much larger groups. He indicates that by including ever watchful gods and spirits, humans discovered an effective strategy for restraining selfishness and building more cooperative groups.[33]

Distribution of belief in God

The percentage of population in European countries who responded in a 2005 census that they "believe there is a God". Countries with Roman Catholic (e.g.: Poland, Portugal) Eastern Orthodox (Greece, Romania) or Muslim (Turkey) majorities tend to poll highest.
 

As of 2000, approximately 53% of the world's population identifies with one of the three Abrahamic religions (33% Christian, 20% Islam, <1% Judaism), 6% with Buddhism, 13% with Hinduism, 6% with traditional Chinese religion, 7% with various other religions, and less than 15% as non-religious. Most of these religious beliefs involve a god or gods.[34]

See also

 
 
 
종교학적 고찰
 종교학은 신 개념을 선험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현상학적 접근방법에 따라 다룬다. 신의 의미 또는 개념에 대한 현상학적 서술에서 신 체험은 2가지 현상학적 특성을 갖는다.
첫째, 신은 인간의 '궁극적 관심'이며, 인간의 유한성에 내포된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서 초월적 의미이며 능력이다.
둘째, 신은 성스러운 것, 즉 '거룩한 실재'이며, 인간의 생명을 의미있게 하며 치유하고 충만하게 하는 능력으로서 존재 그 자체이다.
 
■ 신과 궁극적 관심
신 개념은 종교마다 유형적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인격적인 신관과 초인격적인 존재론적 신관, 단일신론적·유일신론적 신관과 다신론적 신관, 초월적인 신관과 내재적인 범신론적 신관, 주술적 힘을 숭배하는 신관과 인격적인 윤리적 신관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신관의 다양성은 '궁극적 실재'를 체험하고 반응하는 개인과 집단의 문화적·역사적 조건과 삶의 자리가 다른 데서 연유한다. 그럼에도 신은 그 신을 신앙 대상으로 하는 개인과 집단에게 궁극적 관심이어야 하며, 일상적 경험을 넘어서는 능력과 의미를 부여하는 실재여야 한다. 종교사는 궁극적 실재인 신의 초월적 능력과 의미에 참여하고 관계를 맺으려는 인간의 반응을 보여준다. 종교적 당위론은 인간이 궁극적 관심을 가지고 신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신은 인간이 궁극적 관심을 가지도록 이끄는 능력과 의미의 실재이다. 신적 실재가 인간으로 하여금 궁극적 관심을 갖게 하는데, 그 현상학적 특성은 무조건적·절대적·정열적·황홀감정적·자기헌신적·수동적 경험을 동반한다.
 
■ 신과 성스러움의 경험
M. 엘리아데에 의하면 종교 현상에 대한 모든 정의들은 공통점이 있는데, 그것은 성스러운 것과의 관계이다. 신은 성스러운 것, 또는 거룩하신 분이다. 신에 대한 현상학적 경험의 첫째 조건은 성스러움이다. 거꾸로 성스러운 능력과 실재가 아닌 것은 신일 수 없다. 종교 체험의 본질은 성스러운 것의 체험, 곧 거룩한 체험을 동반한다. 성스러운 것의 현현(顯現), 곧 '히에로파니'(Hierophany)는 역사적·문화적 차이,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양태와 형식을 갖는다. 종교의식, 신화, 상징, 우주론, 성스러운 숭배물, 성스러운 시간과 공간의 성별, 성인과 사제 등은 성스러운 것의 현현을 매개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 '마나'는 멜라네시아인들에게서 신비적이고 활동적인 힘인데, 이 힘은 물리적 힘과는 다른 힘, 곧 성스러운 신적 힘이며, 뛰어난 영웅·사제·창조자·치유자는 모두 이 마나를 소유하고 있다고 믿어진다. 신의 현현을 성의 현현으로 보고, 종교를 성과 속의 변증법적 관계로 보는 엘리아데의 지론은 학계에서 모두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성과 세속). 성은 속된 것으로 자신을 나타낸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고대의 인류 종교사, 특히 태고시대로 갈수록 성스러운 것은 참으로 실재성을 지닌 것, 존재, 영원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에 반해 속은 비실재이고, 시간적인 것인 동시에 비존재적인 것이다. 그런데 신은 속의 형태를 취하고 이로써 자신을 드러낸다. 곧 성은 속의 형태로 나타난다. 히에로파니는 바로 이러한 성과 속의 변증법을 보여준다. 성과 속, 존재와 비존재, 절대와 상대, 영원과 시간의 역설적 합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두 실재는 서로 병치되는 것도 아니고, 서로 대립적으로 갈등하는 것도 아니며, 구별 없이 동일화되는 것도 아닌 관계 형태, 곧 구별되면서도 분리되지 않는 역설적 일치에 이른다. 이때 속의 질서에 속한 실재물들은 거룩한 신을 계시하는 계시의 매체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신성을 드러내는 계시의 매체에 속하는 첫째 범주는 나무·돌·바람·강·폭풍 및 계절의 변화 등과 같은 자연물과 자연현상이다. 둘째 범주는 전쟁, 출애굽, 국가건립, 역사적 대재난, 제국의 멸망 등 역사적 사건이다. 셋째 범주는 성인·현자·메시아·예언자·붓다·샤먼 등 인격적 존재이다.
신 체험의 현상학적 특징인 '거룩함'의 체험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서술한 루돌프 오토는 '거룩함의 경험'을 '누미노제'라고 부르고, 그 본질적 특성이 '두렵고 떨리는 신비감'(mysterium tremendum)과 '매혹과 끌림의 신비감'(mysterium fascinosum)이라고 서술했다. 전자의 본질은 신적인 실재를 경험하는 인간 존재가 느끼는 '경외의 감정'이고, 후자의 본질은 '황홀의 감정'이다. 오토는 종교의 근본 요소, 즉 신 체험의 근본적 특성이 합리적 논리나 개념을 넘어서는 비합리적인 것임을 강조한다. '비합리적'이라는 말은 '불합리한'것, 또는 '반(反)합리적인'것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종교나 신 체험은 비합리적일 수는 있어도 반합리적이거나 불합리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 오토는 신 체험에는 명확한 개념적 이해나 언어 표현을 초월하는 점이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근세 이후 합리주의는 종교의 비합리성을 제거하고, 신 체험의 언어 표현이 불가능한 비합리적 속성을 반합리적인 것 또는 불합리한 것이라고 속단하고 종교를 합리적인 것으로 만들려 했다. 그결과 종교는 도덕적인 가치체계나, 합리적인 종교철학의 체계, 심미적인 감정의 순화기능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같은 종교적 신 체험에서는 오토가 말하는 거룩함 체험의 본질적 특성, 곧 '경외감과 황홀감'의 요소가 사라지고 만다. 종교의 합리화는 종교의 통속화 또는 세속화와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 신관의 유형
시바 /시바의 여러 얼굴
인류의 종교사에는 궁극적 실재를 경험하는 양식과 유형에 따라 다신론·유일신론·삼위일체신론 등 다양한 신관의 유형이 나타난다. 이같이 다양성이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신 체험의 구체성과 보편성이 긴장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다신론(polytheism)이란 신들의 수효가 단수가 아니고 복수라는 의미에서 흔히 부르는 말이지만, 그 본질은 신의 숫자나 양의 문제가 아니라 질의 문제이다. 다시 말하면 거룩함을 체험하게 하는 여러 준(準)궁극적 가치와 원리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원리, 즉 보다 높고 근원적인 원리를 인정하지 않을 때 다신론이 등장한다. 창조의 원리나 능력, 보존의 원리나 능력, 파괴의 원리나 능력 등에 각각 대등한 궁극성을 부여할 때, 힌두교의 경우에서는 브라마·비슈누·시바 등 다신의 형태가 나타났고, 고대 원시시대의 다신론에서는 불의 신, 물의 신, 나무의 신, 폭풍의 신, 파괴와 창조의 신, 사랑의 신, 죽음의 신 등 신화적 다신 형태가 나타난다. 다신론은 궁극적 실재의 구체적 특성을 나타내지만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다신교 사회는 경쟁하는 가치들의 복합적 상태가 지속되므로 민주적이거나 다원적이기는 하지만 보편성과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다. 한편 모든 상대적인 준궁극적 가치들을 넘어서 그것들을 통일할 뿐만 아니라, 심판하고 초월하는 절대궁극적 원리나 가치의 실재를 경험할 때 일신론(henotheism)이나 유일신론(monotheism)이 나타난다. 유대교의 야훼, 이슬람교의 알라는 유일신론적 신관을 보여준다. 우파니샤드의 브라만, 불교의 다르마(法), 도교의 도(道) 등은 궁극적 실재를 보다 존재론적·철학적으로 표현한 예라 할 것이다. 삼위일체론적 일신론은 신의 수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신의 구체성과 궁극성이라는 양면적 요소를 동시에 체험하는 과정에서 발달한 신관이다. 그리스도교의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일체론이나 대승불교의 법신불(法身佛)·보신불(普身佛)·화신불(化身佛)의 삼신불 사상이 그 예라 할 것이다.
그리스도교의 신관
그리스도교는 유대교의 정신적·영적 전통에서 발생했고, 유대교는 고대 이스라엘 신앙에서 발생했다. 또 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말씀, 그 안에 나타난 영적 생명의 힘이 당시 지중해 문화권을 이루고 있던 헬레니즘 문화의 토양에서 발전해간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는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을 이어받고 그리스 철학,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형이상학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흡수하면서 고유한 신관을 형성했다.
■ 이스라엘 신앙의 유산
고대 이스라엘인들의 신 체험은 엘, 엘로힘, 엘 샤다이, 야훼, 엘 엘룐 등 다양한 형태의 신의 호칭에서 비롯된다. 다신론적 신 체험이 철저한 유일신론으로 정립된 것은 대체로 모세의 출애굽 사건 때였다. 이스라엘인들은 이 사건을 계기로 야훼 신을 체험했는데, 정작 이같은 유일신론적인 이스라엘 신앙은 BC 6세기, 즉 바빌론 포로기 이후의 신명기학파와 예언자들의 신앙운동으로 정립되었다. 〈구약성서〉 〈출애굽기〉 3장 14절에는 모세의 신 체험과 신의 자기계시가 전해지고 있다. 신의 이름을 묻던 모세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 또는 "나는 존재 자체이다"로 번역될 수 있는 신의 응답을 듣는다. 이 신의 이름은 미래형태로, "나는 존재할 자이다"로 번역할 수도 있고, 최근의 어원 연구에 따라 "나는 존재하게 할 자이다"로 번역할 수 있다. 〈구약성서〉의 야훼라는 이름은 신의 고유명사라기보다는 신의 속성을 알려주는 말인데, 그 본질은 모든 존재하는 것들을 존재하게 하는 '창조의 기능'과 긍휼과 연민의 진통을 통하여 고통 속에 있는 생명들을 '해방시키는 기능'에 있다. 〈구약성서〉가 전하는 이스라엘 신관의 특성은 민족·혈통·국가를 초월하는 초월적 주권성(主權性)을 배타적으로 주장하는 창조의 주 하느님이라는 신앙에 있다. 야훼 하느님의 언표불가능성, 불가시성은 신의 배타적 초월성과 주권성을 말하는 것이며, 그는 스스로 자기를 계시하는 창조의 주이다. 십계명의 제1·2 계명에서 이스라엘인들은 '신의 형상 제작 금지 명령'을 계율로 받는다. 우상숭배 금지명령은 이스라엘 야훼 신의 초월성과 자유에 상응하는 인간의 자유를 지키려는 배려이기도 하다. 이스라엘의 신은 그리스적인 '부동(不動)의 동자(動者)' 같은 영원한 존재가 아닌, 세계의 창조자·유지자·구원자로서 역사와 자연의 지평에서 항상 미래를 열어가는 '피조물과 함께 하시는 하느님'(임마누엘)으로 고백된다. 이스라엘의 야훼 하느님은 자연의 영속성·순환성·지속성·반복성으로 고백되기보다는, 역사의 지평에서 약속과 희망의 능력으로 새로움을 창조해가는 구원의 주로 고백된다.
■ 원시 그리스도 공동체의 신관
원시 그리스도 공동체에서 하느님 신앙은 근본적으로 이스라엘의 신관을 유산으로 물려받으면서도 '부활의 케리그마'와 '성령의 경험'으로 새로워진 삼위일체론적 신관으로 고백되었다. 원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신관을 나타내는 사도 바울로의 표현에 의하면 "죽은 자들을 일으키시는 하느님", "희망의 하느님"(로마 15:13, 8:11)이다. 거룩함·공의로움·사랑·전지전능·무소부재(無所不在)·영광과, 영성·절대자유·창조성 등이 신의 속성으로서 고백되기도 했다. 신의 초월적 주권과 아울러 신의 내재성도 인지되었다. "하느님은 누구에게나 가까이 있다. 우리는 그분 안에서 숨쉬고 움직이며 살아간다."(사도17:27~28)
교리적으로 삼위일체 신관은 니케아 공의회(325)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에서 확립되었지만, 이미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예배의식문과 복음서와 사도들의 편지에서 삼위일체론적 신관이 고백되고 있다. 성부 하느님은 모든 신성의 원천이며, 존재 그 자체이며, 제약이 없는 근거이다. 성자 하느님 로고스는 신성의 자기계시의 원리이다. 성령 하느님은 신의 자기충만과 내적 교제와 하나됨의 원리이다.
■ 교의학과 현대신학의 신관
카를 바르트는 삼위일체론의 근거를 그리스도의 계시에서 발견한다. 초기 그리스도교 신앙공동체는 계시자와 계시사건과 계시의 현실재(Offenbarsein)를 구별하면서도 분리할 수 없는 통일성·일치성·동시성에서 체험했다. 삼위일체는 하느님의 '존재양식'이며, 계시의 해석이라고 보았다. P. 틸리히는 삼위일체론을 그리스도교가 살아계신 하느님 체험을 서술하는 방식이며, 신의 역동성·계시성, 영의 현존적 활동을 표현하는 신학적 표현으로 본다. 삼위일체론은 하나의 신적 본질이 세 위격 안에 있다는 가르침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하나의 신비요 비의(秘義)인데, 세 위격으로 존재하면서도 항상 통일성·교제·구원·창조행위의 충만 속에 있다. 삼위의 상호 발현관계에 대하여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는 견해를 달리한다. 서방교회는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발현한다고 보지만, 동방교회는 성령이 오직 아버지로부터만 나온다고 본다. 신은 하나의 최고 존재자가 아니라 '존재 자체'이며, '존재의 지반'이며, '존재의 능력'이다. 그러므로 신의 존재 증명에 관련된 고전적인 2가지 변증론, 곧 '존재론적 증명'이나 '우주론적 증명'은 어느 것이든 개연성일 뿐이다. 신의 존재는 증명되거나 부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신은 신앙의 대상으로서 '궁극적 실재'이다.

불가사의한 능력을 지니고 자연계를 지배하며, 인류에게 화복()을 내린다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초월적인 존재로 시대와 분야에 따라 그 개념과 성격이 다양하게 정의되었다.

올림포스의 12신 /

한국에서는 하느님 ·하나님 ·한울님 ·천지신명()이라고도 부른다. 여러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이 되는 성스러운 실재()는 인격적인 것과 비인격적인 것, 애니미즘적인 것과 마나이즘(마나에 종교의 기원을 구하려는 학설)적인 것의 두 이질적인 면에서 파악된다. 좁은 의미로서는 인격적 ·애니미즘적으로 파악된 성스러운 존재가 신이다. 미개사회에서는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에 초자연적인 정령()이 머물러 있다고 믿었고, 문명사회에서는 이들을 지배하는 것은 초월적인 인격신()이라고 믿는 일이 많다. 그러나 산삼()에 정령이 깃든 것으로 믿는 것과 같이 어떤 특정한 자연물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정령, 악마와 같이 현실의 세계에는 있으나 구체적인 것과는 관계가 없는 초감각적인 영귀(), 그리스신화제우스와 같이 개성이 명확하고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나 현세를 초월한 성격을 지닌 신 등은 원래 별개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을 일괄해서 신령이라고 부른다.

신의 종류

신령은 단순히 인간이 머리 속에서 생각해 낸 추상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어떤 사회에도 무차별하게 있는 것도 아니다. 특정한 시대나 환경 속에서 특정한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특정한 문화를 지닌 인간에게 각기 제나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그야말로 다종 다양하다.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본체() ·성질 및 있는 곳에 따라 자연신( · · · · · · 등)과 인격신( · · 등), 선신()과 악신(), 천상신()과 지상신 ·지하신 등으로 분류된다. ② 기능에 따라서 농업신 ·수렵신 ·상업신 ·복신 ·빈곤신 ·사신() ·무신() ·문신() ·감시신 ·창조신 ·수호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③ 모습에 따라서 인간형태신 ·식물형태신 ·동물형태신 ·반인반수신(), 무형의 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④ 신령의 수()에 따라 다신교() ·이신교() ·일신교() ·범신교() 등으로 불리는 종교체계의 분류방식도 있다. 또한 다신교 안에서 주신()이 인정되는 것을 단일신교, 때와 장소에 따라서 주신이 교체하는 것을 교체신교라고 한다.  

신의 존재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논쟁이 있어 왔다. 이를 긍정하는 측의 대표적인 것에는 다음의 세 증명을 든다. ① 신은 완전한 것인데, 만약 ‘존재’라고 하는 요소()가 빠지면 신은 불완전하게 되므로 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본체론적() 증명. ② 자연계에 있는 것은 모두 인과()의 법칙에 의해서 지배되므로 인과관계를 더듬어서 점차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최후에는 제1원인으로서의 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우주론적 증명. ③ 천체()가 질서정연하게 운행하고 있는 것은 목적이나 의장()을 창출한 신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 목적론적 증명 등이다. 또한 이들을 비판한 역사적 증명, 도덕적 증명, 체험적 증명 등도 있다.

이를 부정하는 측의 대표적인 것은 직접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무신론으로, 유물론() ·무신론적 실존주의 ·논리실증주의() 등의 입장에서 주장된다. 또한 지배자의 정치적 의도에 따라서 신이 생겼다고 하는 정치적 발명설, 공포가 신을 창조하였다고 하는 공포기원설(), 신이 존재하고 있는 양 행동하는 편이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허구설() 등 간접적 부정의 시도도 많이 있다. 그러나 신의 존재에 대해서 모든 사람이 만족할 수 있는 해답은 아직껏 제시되어 있지 않다. 

신관념의 이행

그리스도교와 같은 일신교에서도 신관념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전지전능하고 기적을 행하는 구체적인 성격의 신에서 인간의 살아가는 방식을 계시()하고 지도하는 이상상()으로서의 신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그것이다. 신성(), 존재의 근거, 구극적() 관심 등의 추상적()인 말이 ‘신’이라고 하는 말에 대치되는 것도 구체적이고 인격적인 신이 추상적이고 비인격적인 것으로 이행()해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전개된 ‘신은 죽었다’는 운동은 전통적 유대교 ·그리스도교의 ‘하늘에 계신 아버지’인 신의 죽음을 선언하고 신이 없는 그리스도교를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운동 배경에는 신에게 성실하려고 해서 신을 구하면 구할수록 우주의 어느 다른 곳에 있을 인격신으로서의 신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역설을 제시하고 실존적인 삶의 방법을 구하려는 시도가 있다.

신 대신에 예수를 강조하고 예수와 같이 이 세속 속에서 이웃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 되자고 하는 이 새로운 신학은 20세기 전반을 풍미()한 신 중심의 바르트 신학과 대립되는 것으로서 인간 예수를 중심으로 하는 그리스도교로의 일대 전환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휴머니즘적 무신론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신학이라고 비판되고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향이 더욱 전개되어 나간다면 신관념의 인격적 성격은 점점 없어지고 추상적인 신성()에서 다시 비인격적인 불교의 ‘법’이라는 관념에 가까워지게 될 것이다.  

한국에서의 신

‘god’의 역어()로서의 신에 그리스도교의 일신론적 성격이 짙은 바와 같이 한자()의 ‘’에는 ‘하늘의 신()’, 곧 하느님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한국의 경우 천신은 천상에 존재하며, 최고의 신으로서 우주의 모든 현상을 지배하고 통솔하여 인간세상의 행복과 불행, 인간의 명운을 좌우하는 것으로 믿는 옥황상제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 예로부터 추수 다음에 거행하던 제천의식()은 곧 천신에 대한 제사이다. 또한 천계에 존재하여 인간의 운명을 조종하고 인간의 소원을 풀어주기도 한다고 믿어 기원()의 대상이 되는 북두칠성이나 견우 ·직녀성은 천체신이라 할 수 있다. 천제(:)의 자손으로 고조선을 개국한 단군은 후에 국조신()으로 숭상받게 되었으나 그는 아사달()에서 자연신인 산신()이 되었다.

또한 고구려 ·신라에서 국조신으로 제사를 지낸 주몽 ·박혁거세도 천신 ·해의 아들()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국조신 ·개국신으로 받들던 시조는 하느님의 아들로 일컬어진다. 한편 거의 모든 개국시조의 탄생과 깊은 관련이 있는 산을 신령시하여 예로부터 백두산묘향산 ·북한산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지리산 등 전국의 명산은 옥저 ·고구려 ·예() ·백제 ·신라 ·고려 ·조선 등에서 신산으로 받들어 제사를 지내왔다. 흰 옷을 입은 백발노인의 형상으로 나타나 산신 ·산신령으로 불리는 이 신은 영검하고 큰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져 나라와 부락단위로 제를 올리고 국태민안() ·풍작 ·기우 등을 빌어왔다. 자연신 가운데는 해신() ·하천신() ·용왕신으로 불리어 바다 ·강 ·연못 등 물을 관장하는 수신()이 있다. 나루터에 있는 독신(), 못에 있다는 지소신()도 물에 관계되는 신이며, 물귀신으로도 표현되는 수신은 물에서 불의에 죽은 사람의 원령()이 남아 심술을 부린다는 악령적()인 성격을 띠기도 한다.

민간에서 격이 높은 수신으로 숭상되는 용왕신은 여러 어촌의 용왕당에 모셔져 풍어제()를 올리고 음력 설이나 보름날에 주부들이 제를 올린다. 또한 자연신 가운데는 한 가옥의 터, 한 마을, 그리고 한 지역이나 한 나라의 땅을 관장한다는 지신(:)이 있다.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는 사직단()을 만들어 지신인 태사()와 곡신()인 태직() 두 신에게 제사를 지냈고, 민간에서는 정초에 지신을 위하는 지신밟기를 하였다. 또한 ‘터주’ ‘터줏대감’ 이라고 불리어 집터를 담당하는 지신에게는 명절 때나 큰 굿을 할 때 터줏상을 차려서 위하는데 터주가 노하여 재앙을 받게 되는 일을 동티[]라고 한다.

이 밖에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서낭 ·골맥이 ·부군 등으로 불리는 동신()이 있는데 이들을 모시는 곳을 당()이라 하여 당신이라고도 부르며, 부락마다 동제 ·당산제를 지내 협동심과 공동의식을 다진다. 자연신에는 또한 바위신[]이 있다. 기자()의 대상으로 믿는 바위신의 신앙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여, 바위에 돌을 던지거나 자식을 낳게 해달라고 빌면 생남()할 수 있다고 믿었고 남근석() ·자지석() 등으로 불리는 바위, 또는 석물()에 고사를 지내거나 그 위에 앉았다 일어나면 아이를 갖는 데 효험이 있다고 믿었다. 바위신과 같은 기능신()에는 방위를 관장하여 지키는 오방신()이 있다. 오방신은 각기 계절을 맡은 계절신이기도 하여 동방의 신[]은 봄을 맡고, 남방의 신[]은 여름을, 서방의 신[]은 가을을, 북방의 신[顓]은 겨울을 맡았으며, 중앙의 신[]은 토()를 맡았다.

민간신앙상 일반적으로 최고의 신으로 인식되는 하느님 ·옥황상제는 최상의 명복신()으로 여기는 제석천()과 더불어 무속신앙()에서 그 신앙의 대상이 되는 무신()으로도 받들어진다. 300종에 달하는 무신은 출산신()인 삼신[]의 경우와 같이 거의 독특한 일을 맡은 기능신으로 그 중에는 앞서 자연신으로 분류하였던 일월신 ·일월성신 ·칠성신이 있고, 지역신인 골맥이신 ·서낭신[] ·본향신() ·군웅신() ·바리공주신 등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거족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조령숭배()이다. 유교의 가례()에 의해서 더욱 뒷받침되어 내려온 조상신에 대한 숭배는 조선 500년을 내려오면서 한국 문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끝으로 주부들과 가장 가깝게 지내온 신으로 가신()이 있다.

성주() ·조왕(竈) ·치귀[] ·문신(:)으로 대표되는 가신은 각기 그 맡은 기능에 따라 걸맞은 대우를 받아왔다. 이 가운데 성주는 집안의 여러 신을 통솔하면서 가내의 평안과 부귀를 관장하는 신으로서 가신 중 최고의 신으로 신앙된다. 조왕은 아궁이를 맡고 있는 신으로서 불을 때고 음식을 만드는 가정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일을 맡는다 해서 재산신으로도 받들어 성주 못지 않게 섬긴다. 문신 ·수문신은 대문을 지키는 신으로서 선한 복만 들어오게 하고 악한 재화()는 못들어오게 막는다. 여성으로 상정하는 치귀는 뒷간을 담당하는 신으로서 가신 중에서는 악귀에 속하여 특별히 섬기지는 않고 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부엌 ·장독 ·대문 등과 함께 뒷간에 불을 밝혀주는 정도이다. 이 밖에 전라도 지방에서 ‘철룡님’이라고 부르는 장독신은 간장 ·된장 등을 맡은 신으로, 재산신으로도 섬긴다. 이상 한국 민족이 예로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섬겨온 신 또는 신령들은 서두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인격적인 것과 비인격적인 것, 애니미즘적인 것과 마나이즘적인 것이 혼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한국 조상들은 일상생활의 어려움 속에서 유례가 없을 만큼 많은 신들과 어울려 섬기면서 어려움을 이겨나가는 한 방편으로 삼아왔음을 또한 알 수 있다.  



 
 
==========================
 
 
한국인의 신관
신화와 제의(祭儀)는 종교를 표현하는 근원어이다. 신화에는 그 신화를 탄생시킨 민족이나 인간 집단의 근원적인 종교관·신관·가치관이 나타나 있다.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발생을 설명하는 설화로서 한국인의 신관의 원형이 그 안에 담겨 있다. '사상'을 한국 종교사상과 신관의 기원으로 밝히려는 대표적 시론으로는 육당 최남선〈불함문화론 不咸文化論〉이 있다. 그에 따르면 '' 은 몽골어 'tengri'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다', '환하다'를 뜻하며, 하늘·태양·신을 총괄하여 신앙대상을 표현하는 말이 되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으로 음전(音轉)되어 발전되었다고 보는데, ''의 종교현상학적 체험 내용은 큼·밝음·하나임·바름·오램·높음·온전함·김·으뜸·중심 등이며, 한자표기는 환(桓)·한(韓)·발(發)·대(大)·이(夷)·부리(夫里) 등이다. ''은 위와 같은 다양하면서도 원융회통(圓融會通)하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복합적 총괄어이다. '(韓·桓)과 밝음(朴·光明·太陽)이라는 개념적·실물적 상징을 통해서 한국인은 하눌님이라는 최고신 개념을 갖게 되었는데, 여기서 유의할 점은 한국인의 하눌님 신앙이 고산숭배·광명숭배·태양숭배·하늘숭배의 제의 형태를 취하면서도 결코 높은 산, 천공(天空), 태양 그 자체를 신격화하는 자연신 숭배의 차원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것들은 지고신 하눌님의 현현 형태, 곧 '히에로파니'이며, 만물은 지고신 하눌님의 주권과 신성을 분화형태로 담지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인의 신관은 일원론적 다신신앙 형태를 취했다. 이 신관은 신 체험에서 요청되는 구체성과 우주적 보편성을 동시에 충족시킨 형태이다. 최치원의 〈난랑비서 鸞郞碑序〉에 나오는 "國有玄妙之道 日風流……實乃包念 三敎"(〈삼국사기 三國史記〉 신라본기, 권4, 진흥왕조)라는 표현에 근거해 학자들은 한국 종교의 원형이 '풍류도'라고 밝힌다. 풍류도는 유(儒)·불(佛)·선(仙) 3교를 능히 다 포함한다. 유동식의 연구에 의하면, 풍류도는 우리말의 불[夫累]의 표현으로서 광명을 뜻하고, 알타이어 'burkan'과 어원이 같으며, 한민족 고유의 하느님 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광명이세(光明理世)하는 혁거세를 불거안[弗矩內]이라고 한 것이 그 예이다. 한국인의 하눌님은 초월적·내재적인 신이며, 모든 현상계를 초월하는 지고신인 동시에 만유에 내재하는 범신이다. 그러므로 한국인은 무교적 민속신앙의 다양한 다신론 형태를 지니면서도 지고신인 하눌님 신앙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같은 한국인의 원초적 신관은 배타주의적 유일신론이 아니고 포용적 유일신론이며, 타계적 초월신론이 아니라 현세적 범신론이며, 성속분리의 이원론이 아니라 성속일여(聖俗一如)의 창조적 변혁신론이다. 한국인의 하눌님 신관이 지향하는 이상적 현실세계는, 〈단군신화〉라는 건국신화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하늘과 땅의 융합, 하느님과 인간의 융합, 자기부정의 통과제의를 통한 새로운 문명의 탄생, 성과 속의 혼융일체를 통한 하나로 어우러지는 대동세계의 실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金敬宰 글

'아름다운 삶을 위해 > 宗敎, 經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 自然 Nature 의 어원  (0) 2010.09.04
Augustine of Hippo  (0) 2010.06.22
어떤 특정 종교에 빠지지 말라.  (0) 2010.05.30
외계인의 종교는?   (0) 2010.02.08
원불교 [圓佛敎]  (0) 200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