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따라 살지 말자.
주체성 없이 남 흉내 내면서 살지 말라.
- 머리 색, 머리 모양, 의복 특히 치마, 안경, 몸 치장, 메이크업, 여러가지 악세사리, 자동차, 집, 골프, 신발, ....등.
다양한 것은 좋다. 그러나 시대적으로 늘 변하는 유행은 그리 좋게 보이지는 않는다.
여러 사람이 각자 개성있는 삶을 살아 나간다면 그것이 사회적 다양성으로 나타 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일부분을 추종하는 유행 페턴은 여러가지 심리적 부족감에서 나오는 것 같다.
자기상실감이나 모방심리에서 나오는 어떤 계층 생활을 추종하는 것은 좋지 않다.
남이 하니까 나도 한다. 누구도 하니까 나도 한다. ....
유행을 만드는 사람들은 우월감 차별감에서 사는 상류계층이나 특수 집단일 수 있다.
특정 계층의 놀이였던 골프, 예술하는 사람들의 모자, 수염, 의상이 그렇다.
유행을 만드는 사람들은 장사치 일 수 있다.
안경 모양이나 태, 여인들의 치마, 머리 색이나 모양, 자동차 악세사리,
유행을 만드는 사람들은 남의 시선을 끌려고 하는 심리에서 나올 수 있다.
눈섭올리기, 쌍카플 수술, 귀고리, 목걸이, 팔찌, 발찌, 배꼽고리. 은밀한 부분의 고리 착용들이다.
원시족들이 신체의 일부를 변형시키고, 장신구를 달고, 문신을 한다. 이것은 자연을 거역하는 짓이다.
신체를 조작하여 유행따라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은 비정상이요 나중에 부작용을 피할 수 없다.
자연 그대로가 좋은 것이다.
나는 아직도 이해 못하는 것이 남자들의 넥타이 이다. 왜 넥타이를 목에 매는지 모르겠다.
여자들이 배꼽을 내놓고 다니거나, 상체는 감추고 하체는 추운 겨울에도 노출하고 다니는지 모르겠다.
햐얀 이쁜 얼굴 만든다고 맨날 얼굴 가리개 뒤집어 쓰고 다니는 여인들 이해가 안간다.
언어도 이따금씩 이상한 단어나 말투가 한 동안 유행하기도 하는데 이해가 안간다.
더러운 청바지. 다 찢어진 청바지를 입고 다니는 사람들 혹시 정신이 비툴어진 사람들 아닌가 의심스럽다.
이상한 모양을 한 엔터태이너들이 있는데 이것은 자기 부각을 위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
그런데 왜 이들을 흉내내고 따라 가는가?
건전한 자기 가치기준을 정하고 이를 지켜 나갈 때 사회는 다양성을 보일 것이고 이것이 조화와 아름다움을 보일 것이다.
자기 것을 버리고 남의 것을 좋아하는 나쁜 버릇을 버려라. 물질적인 것이나 정신적인 것이나 다 그렇다.
무리 문화나 우리의 재산도 우리가 지켜야 한다. 무조건 서양 것만 따라가지 말라. 서양 것도 나쁜 것 많다.
바쁘게 유행을 좇아 다니다가는 정신과 시간과 돈과 노력의 낭비이다.
유행을 쫓는 사람들은 자기 상실증 환자들이다.
유행을 좇아 살아가지 말라. 필요 없는 것은 가지지 말라. 남에게 보이려고 살지 말라.
자기를 자기답게 살라. 모든 면에서 타를 부러워하거나 유행을 따라가는 것은 남 대신 살아가는 짓이다.
부족해도 가난해도 자기 것의 좋음을 느끼면서 살라.
못 났어도 정든 내 가족이 좋고 내 이웃이 좋음을 깨달으라.
하찮은 것도 나와 같이 했던 추억이 있는 것들이 좋음을 알라.
2010.6.26.
HANNGILL
***************************************************************************************
溫故而知新 은 학문하는데 있어서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알라는 말이다.
옛 것에 집착하고만 있어서는 안된다는 뜻도 있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여야 발전한다.
요지음은 새 것이 옛 것보다 싸고 좋다. 옛 것이 고장나면 고치는 비용이 새 것 가격보다 더 든다.
고장나면 미련 없이 버리고
없이도 잘 살 수 있다면 그대로 살라.필요하다면 옛 것을 고집하지 말고 새 것을 구해서 써라.
이 말은 주체성 없이 유행따라 살지말라는 말과는 구별된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 삶의 智慧'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까이 할 수록 (0) | 2010.08.17 |
---|---|
선물공세에 따라가지 말라. 공것은 없다. (0) | 2010.06.28 |
없어도 살 수 있으면 그대로 살라. (0) | 2010.03.17 |
돈과 일 (0) | 2010.03.16 |
원시적 생활이 때로는 좋은 것이 많다. (0) | 200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