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당침뜸 치료혈 (뜸 : 많이 사용하는 순) | |||
혈 | 위 치 | 설 명 | 적 용 병 |
거궐 | 중정과 중완 중간 | 1. 심의 모혈로 상완과 더불어 심장진단의 요체 | 1. 삼계항진, 심통, 심장 판막증, 협심증, 심하비경 등에 좋다 |
2. 위산과다, 위장장애로 가슴에 이상이 있을 때 | 2. 식곤증에 거궐+삼간을 자극하 면 정신이 난다. | ||
3. 심장보다는 소화기의 문제에 많이 사용, 특히 | 3. 구토시킬때 강자극 | ||
위기가 상역하여 오심이나 구토시나 임산부의 | |||
입덧이 심할 때 좋은 치료점 | |||
4. 상초의 대표혈로 손에 힘이 없을 때 힘이 생김 | |||
양문 | 중완 옆 | 1. 위 질환의 대표혈, 심장과 위장의 탈을 다스림 | 1. 소화불량, 위 팽만감, |
위경라인 | 2. 상초와 중초를 이어주지 못해 생긴 병에 취함 | 위확장증을 다스림 | |
3. 좌양문 : 췌장에 가까워 췌장(비장)의 병을 사용 | 3. 백회+공최+좌양문=항문병 | ||
* 상부 위장관 질환에 중완+거궐과 더불어 사용 | 4. 간담이 이상시 : 거궐 + 중완 + 우양문 | ||
4. 우양문 : 담낭근체로 간담의 소설작용에 이 | |||
상을 보이는 증상에 사용(간염, 간경화, 담석증) | |||
심유 | 흉추5번 극(신도) | 1. 심장의 유혈로 심으로 기가 흘러들어가는 곳 | 1. 심장의 혈액순환장애가 있는 |
옆 방광경 | 으로 심장의 모든 질환에 사용된다. | 협심증,심근경색시흉추3.4.5.6번 극하 + 심유 | |
1선,1.5푼 | 2. 심장을 지배하는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은 흉추 | 3. 우울증과 같은 마음의 문제나 정신질환 : 심유+천추+신유 | |
1.2.3.4번 분절에서 나와 심장으로 들어가고 | 4. 심장 이상이 원인인 호흡 | ||
부교감신경은 미주신경에의해 받는다. | 곤란(심부전,심장성천식):흉추 1.2.3.4번 극하 | ||
3. 심장이상시 광증, 구토, 전간, 동계가 있으며 | |||
머리가 무겁고 가라앉는다. | |||
4. 호흡기 질환이 있어 살이 찌지 않거나 호흡곤 | |||
란이 있을 때 :폐유+격유+심유(6화혈) | |||
전중 | 흉골 중앙에 위치(양 젖꼭지 중앙) | 1.전중은 심포의 모혈로서 비,심,소장,삼초,임맥의 | 1. 여성의 심장병 진단은 전중혈 에서 진단 |
교회혈이고 팔회혈의 기회혈이며 여러 기의 병 사용 | 2. 남자의 심장별은 거궐혈에서 진단 | ||
2.흉골 조혈작용에 영향(넓적하고 얇은 뼈와 늑골) | 5. 난소를 치료하는 중요한 혈이 음교+전중을 치료하면 여성의 여러질환에 도움 | ||
3.뜸자극이 조혈에 영향을 주어 여러 가지 질환 | * 난소와 심장과 갑상샘의 문제 는 밀접하게 연결됨. | ||
에 도움을 준다. | |||
4.심장병이 있거나 협심증 등의 관상동맥 질 | |||
환에 배부의 여러혈과 더불어 사용하고 갑 | |||
상샘질환에도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심장병 | |||
과 갑상샘이 관련됨 | |||
5.여자가 갑상샘질환이 많은데 난소문제와 | |||
갑상샘질환이 관련이 많기 때문 | |||
간유 | 흉추9번 옆 1.5푼 방광경 | 1. 흉추5.6.7.8.9번 분절을 통해 나오는 교감신경이 대내장신경을 형성하여 복강 신경절에서 시냅스를 형성하고 하부식도와 위, 간과 담, 췌장, 부신, 복 강내의 혈관들, 그리고 소장에 신경지배한다. | 2. 눈병, 반신불수, 와사증,근무력 |
1선 | 2. 간으로 가는 기를 조절하는 곳이며, 간이상시 경혈 반응이 나타나는 간병의 진단점 | 증과 같은 근에 관계되는 병, 요 통이 심한데 당기면서 아플 때 간유 배합 | |
* 장기적 약 복용시 약의 효능증대 위해 사용 | 3. 간염, 간기능 장애등의 간질 환, 불면증, 당뇨, 출혈성 질환에 사용 특히 여성생식기 출혈에 사용 등 생식기 질환 | ||
대추 | 7번 경추 극돌기 | 1. 하늘을 지고 있는 기둥이라는 뜻으로 이곳으로 C8 척수신경이 나오며 뇌로부터 내려오는안.이.비.인후(EENT)로 가는 교감신경이 이 척추분절을 통해 나와 다시 위쪽으로 상행하여 교감신경지배를 한다. | 2.이 부위 자극을 통해 안.이.비. 인후로의 교감신경 부조화에 영향을 줄수 있다. |
2. 이 위의 경추에서는 교감신경이 나오지 않고 | 3. 비출혈, 급성열병, 두통이 있 을 때(사시, 결막염, 선천성 | ||
아래까지 내려왔다가 C8, T1을 통해 나왔다가 | 녹내장 등) 사용 | ||
올라간다. | 4. 양 상지의 저림에 사용 | ||
삼음교 | 하지의 | 1. 부인과 질환의 대표혈로 여성의 생식기의 | 1. 자궁암, 자궁근종, 월경통, 불임증, 전립샘증 등 생식기질환에 사용되며, 요양관과 삼음교에 피내침시 생리통을 없애준다. |
내과상 3촌의 경골 후연에 | 모든병과 남성생식기 병에도 사용된다. | 3. 신부전, 심부전, 간질환 등에의해 전신의 부종이 있을때 무극과 사용하면 이뇨효과가 큼 | |
위치하며 | 2. 임산부에게 이곳을 강자극하면 유산 위험 | ||
3개의음경 | 3. 족병의 예방과 좌골신경통 등 발의 내측이상시에도 쓰이며 비위가 허약하고, 심복창만, 사지가 올라가지 않고, 복명설사, 복한통, 소변불리, 소변 유실의 증상에도 사용 | ||
이 만나는 곳 | 4. 여성생식기병(간,신,비)을 같이 치료하는 | ||
자 리 : 나이가 많은 여자는 다 생식기병이 있다 | |||
격유 | 팔회혈중 | 1.피와 관계되는 모든병에 쓰이는데, 주로 식사를 하지 못하여 마르거나 피를 잘 만들지 못하여 피부가 지나치게 흰 사람에게 잘먹고 살을 찌우고 피를 만들 원료를 잘 확보하라고 격유에 뜸 | 1. 위산과다 위궤양의 치료점 이면서 진단점이며 체했을 때 등을 두드리는 곳이다. |
혈회혈임, | 2. 가벼운 소화의 문제 : 지양, 증상이 심하여 소화의 문제와 조혈의 문제가 같이 있을 때 : 지양+격유 | 2.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등에 돌 하나를 지고 있는 듯 한곳이라고 하였고 대부분 위장 장애시 뜸을 하거나 침을 한다. | |
지양 옆 | 3.흉추5.6.7.8.9번 분절 교감신경이 상부 위장관과 간.담, 부신과 복부혈관을 지배, 그 중심에 있는 격유와 지양이 상부 위장관 질환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 ||
방광경1선 | |||
음교 | 배꼽아래 1촌, 임맥과충맥, | 1. 해부학적으로 이곳 바로 아래의 장기는 소장이지만 여자에게서 양쪽 난소의 가운데라고 봄. 따라서 이곳은 여성의 생식기질환이 있을 때 그 병이 모이는 곳. | 1. 대하, 월경불순, 여성불임, |
족소음 | 2. 갑상선의 기능이상은 대개 자궁과 난소의 문제로 시작되어 심장의 이상을 초래하고 갑상선기능 항진이나 저하를 불러온다고 본다. | 남자의 낭습에 사용 | |
신경이 만나는 자리 | 2. 여성에 있어서 생식기 질환과 더불어 갑상선 이상에도 음교를 사용한다. | ||
활육문 | 수분 옆 | 1. 혀가 굳는 따위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여기에 자침하여 혀를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하므로 활육문이라 하였다. | 2.비의 운화작용에 문제가 있어 살이 잘 찌지 않는 사람에서 중완, 거궐, 좌양문과 함께 사용. |
2촌 | 2. 우활육문 : 해부학적으로 십이지장 2번째 부분에서 3번째 부분으로 넘어가는 부위에 가까워 십이지장의 소화흡수에 영향을 주어 비의 운화 작용을 돕는다. | 좌활용문 쪽에서 경혈반응이 | |
위경 선상 | 나타나는 경우는 이쪽을 취함 | ||
* 위질환이 심하거나 지나치게 마른 사람 | |||
비유 | 11번흉추 | 1.이곳 분절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은 10,12 흉추 분절에서 나오는 신경과 합쳐져 소내장신경을 형성하여 주행하다가 복강 신경절에서 시냅스를 형성한 후 신경절후 신경이 되어 여러 장기를 지배하는데 그중 11번분절에서 나오는 것은 비장과 관련이 많을 거라고 생각되는데 그중 췌장의 내분지 기능과 비장의 혈에 관련된 기능에 영향 줌 | 4.중초에 이상이 있을 때 간유와 |
극하양 옆 | 2.췌장의 기능 중 소화기능과 관련하여서는 흉추7.8.9 분절에서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 같다. | 비유에 뜸을 뜨면 트림이 나면서 | |
방광경1선 | 3.소화작용에 관련된 유혈 중에서 가장 그 효과가 큰 것은 격유이고 비유나 위유는 조금 멀게 느껴짐 | 좋아진다고 함 | |
비장과 위장에 관계되는 필수혈 | 따라서 비유는 당뇨병에 필수 혈로 사용하며 비유에 침으로 강자극 하면 입맛이 떨어져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된다. | 5.습과 관련된 피부질환(아토피), | |
습과 관련된 관절염(류마티스) 등에 사용,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관절에 부종이 있을 때 | |||
6.출혈성질환, 백혈병이나 재생 불량성 빈혈의 경우에도 간유와 더불어 뜸 | |||
천추 | 대장의 모혈 배꼽 옆 2촌 위경상의 경혈로 천지의 기가 교차하는 곳 | 1.해부학적으로 평행대장이 아래를 지나며 배부의 신유와 맞서는 위치이다. | 1.그래서 하초의 신의 병을 다스릴 때 신유를 취하여 배부의 양을 치료하고 천추에 음을 다스린다. |
2.만성설사 등의 대장질환에 사용하고, 배가 아플때 진단이 불가능면 일단 천추를 취한다. | 3.아토피, 건선, 만성 두드러기 | ||
3.대장은 피부를 주관하는 폐와 표리관계이므로 폐경의 일부 경혈과 함께 여러 피부질환 사용 | 4.하늘 천자는 정신질환, 심장질환의 기능과 관련됨 : 심장은 마음과 관련되므로 우울증 사용 | ||
4.복직근의 압통이 자주 나타나는 곳, 허리통증에 사용하며, 대개의 사람에게 루틴으로 침 | |||
대거 | 위경상 석문옆 2촌 복부에서 가장높고 크게 융기한 곳 | 1.여성의 경우 난소의 문제가 나타나는 위치의 혈로 복진 상 경결이 경결이 만져진다거나 부어 있다고 느껴질 때 사용 | 1.여성의 난소 질환시 반응 |
2.구당 선생은 석문 옆보다는 기해 옆 2촌 사용 외능 위치에도 대거의 의미로 사용 | 점에 사용 | ||
2.여성 불임증, 월경불순, 난 | |||
소염, 난소 문제시 반대쪽 | |||
유방통(유방통시 반대쪽 | |||
대거 뜸) | |||
두유 | 액각 발제 | 1.머리가 어지러운 증상에 주로 사용한다. | 1.뇌의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된 어지러움이 있을 때 뜸을 뜨면 뇌의 혈액 순환을 돕는다 |
에서 5푼 | 어지러움의 원인이 두위와 관련이 있는 양성 | ||
들어가 | 돌발성 체위 현훈(BPPV) 등에 사용 | ||
위경상경혈 | |||
대장유 | 요추4요양 | 1. 주로 대장질환에 사용하며 잘낫지 않은 피부질환과 요배통, 요통, 대소변불리, 부인대하 | 1.피부질환 : 아토피, 건선, |
관옆1.5촌 | 만성두드러기 | ||
담유 | 흉추10 방광경 | 1.해부학적으로 이 분절에서 나오는 교감신경 | 1.담낭염이나 담석 등의 증상에 우양문과 같이 사용 |
1선, 담의 유혈 | 은 11.12 흉추 분절에 나온 신경과 합쳐져 소 | * 주로 우담유만을 사용 | |
내장신경을 형성하여 주행하다 복강 신경절에 | 2.간유와 담유를 같이 사용하 | ||
서 시냅스를 형성한 후 신경절후 교감신경이 | 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뜸자리 | ||
되어 여러 내장 장기를 지배, 그중 10번 분절 | 줄임 : 좌측 간,담유 사용안함 | ||
에서 나온 것은 담낭과 담도에 영향을 많이 줌 | 3.담유만 사용시는 좌우 사용 | ||
삼초유 | 요추1번 | 1.해부학적으로 요추1.2.3 분절에서 나온 교감신경 | 1.이 혈은 신유와 공능이 비슷 |
옆 | 이 하부 장간막 신경절에서 시냅스를 형성하고 좌측 | 동계가 심할 때 사용한다. | |
방광경1선 | 하행대장과 콩팥, 방광과 생식기를 신경지배 한다. | 2.돌발성 심실상성빈맥(PSVI)이 | |
2.삼초는 인체의 열을 조절하며 열의 근원을 다스리 | 있을 때 삼초에 다장하면 맥박수 | ||
는 부(腑)이고 그중 하초는 생식과 관련이 많다. | 가 줄어듬 | ||
3.맥박이 빠르면서 복진 상 복부대동맥의 박동이 강 | |||
할 때 사용한다. | |||
위유 | 흉추12번 옆방광경 1선 | 1.위의 유혈로 심한 위궤양이나 위암에 위창과 함께 사용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위장질환에는 격유나 지양을 사용하므로 위유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 |
아주 오래된 심한 위장관 질환에는 간혹 사용한다. | |||
* 침으로는 태충, 합곡, 천추, 동자료, 곤륜, 위중, 양릉천, 천료, 천종, 천주, 풍지를 주로 사용 하며 합곡 대신에 수삼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 |||
태충 | 간경의 | 1.태충이 막히면 다리를 못쓰고, 아랫배가 당기면서 | 1.생식기병(자궁병, 정소병), 기울 , 여자의 붕루대하에 삼음교와 배합하여 사용 |
원혈,사관혈,기혈을 소통시키 | 아프고 고환이 아프다. | ||
는 기본자리 | 2.단 임신부에게는 주의 : 약자극으로 속발 속자 | ||
3.간은 근을 주관, 간경의 원혈인 태충은 | |||
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리(근육 속에 혈관, 신경, 많은 호르몬과 영양소등 물질 저장) | |||
합곡 | 대장의 원혈,사관혈로 기혈을 소통 | 1.천도를 열어주는 혈로 하늘에 있는 것을 한번 에 통하게 한다. | 1.어린아이는 태충과 합곡의 |
2.안이비인후과(EENT) 통증에 모두 듣는다. | 사관혈 만으로도 증상 호전 | ||
3.안면신경마비나 편도염이 있을 때, 입안 | 2.임신부 사용 주의 : 필요시 | ||
이 마르거나 헐어 있을 때도 좋다. | 속발속자한다. | ||
천추 | 대장의 모혈로 | 1.만성설사 등의 대장질환에 사용, 배가 아플 때 | 1.여러 피부질환에 사용 |
천지의 기가 교차하는 곳 | 진단이 불가능하면 일단 천추를 취한다. | (아토피, 건선, 만성두드러기) | |
2.허리문제시 등의 척추 기립 근과 상응하여 | 2.등의 신유와 반대되는 위치로 신을 다스릴 때도 사용 | ||
반대로 작용하는 복직근의 중심이 되는 자리로 신유와 더불어 사용하는게 유리함 | |||
동자료 | 눈의 순양지체의 집합체로 양기를 집적 | 1. 대부분 안과 질환에 사용하며 잘 낫지 않는 두통에도 사용한다 | |
2. 두통에는 약간 심자하고 사죽공에서 태양으로 투자하는 것같이 사용 | |||
3. 대부분의 사람에서 사용하는 이유는 눈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다. | |||
눈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본인이 느끼든 그러하지 않든 눈의 피로가 있기 마련 | |||
곤륜 | 중국 높은산이름 엎드렸을때 높이 올라 | 1.새벽 설사의 명혈로 양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고 하초질환의 경우에 사용 | |
온 부분 | 2.위중과 더불어 허리의 통증에 사용, 자궁 어혈로 인한 부인들의 두통에 사용 | ||
3.곤륜은 방광경의 경화혈로 정명에서 시작 머리를 따라 목뒤로 내려와 등과 | |||
허리와 다리를 타고 내려와 지음혈까지 뻗어있는 방광경의 특성상 엎드려서 높은 | |||
위치에 곤륜은 서있을때 높은 머리와 관련이 있다 | |||
4.사람의 양에 해당하는 부위를 다스리는데 도움이 된다. | |||
2. 구당침뜸 치료혈 (침) | |||
혈 | 위 치 | 설 명 | 적 용 병 |
위중 | 1. 여자들이 벼를 주울 때 드러난다는 혈로 사총혈 중에서 허리를 주로 다스리는 혈이기고 하고 하합혈 중에서 방광을 다스리는 혈이기도 하다. 기립하여 걷는 척추동물은 허리에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어 누구나 허리의 불편은 조금씩 가지고 있다. 이런의미로 누구나 도움이 되는 자리 | ||
양릉천 | 1. 담경에서 제일 중요한 혈, 담의 합혈이고 팔회혈 중 근회혈이다. 병이 내측에 있을 때는 음릉천을 병이 외에 있을 때는 양릉천을 취한다. | ||
2. 병이 배꼽위 냉증일 때는 음릉천을, 외감의 양증 증상일 때는 양릉천을 취한다. | |||
3. 근육과 건의 문제가 있을 때 양릉천을 취하며. 대개 사람들은 근육을 많이 사용하고 근육과 내부 장기는 반드시 연관이 있으므로 근육의 힘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양릉천을 자주 사용한다. | |||
천료 | 소형능근 위 견갑골의 삼각 | 1. 고혈압을 다스리는 명혈이고 천식에도 좋은 효과를 내는 곳이기도 하다. | |
지점 맨위에 | 2. 승모근은 견갑거근, 흉쇄유돌근과 더불어 대표적인 스트레스 근육인데 근육의 압통이 천료부위에 잘 나타난다. | ||
승모근 부위 | 3. 뒷 목이 당기고 어깨가 무거운 증상이 있을 때 천종과 더불어 사용 | ||
4. 대개 사람은 이부위의 압통이 있어 침을 놓아주면 좋은 효과가 있다. 누구나 스트레스는 있고 팔을 많이 사용하므로 이 부위에 문제가 많다. | |||
천종 | 1.극하근의 압통이 자주 나타나는 부위이고 극하근의 모터 포인트이기도 하다. | ||
2.심부에는 폐가 있고 유두의 반대편에 있다. 소장경의 기혈이 모이는 곳이고 견갑골 | |||
부위에서 누르면 가장 아픈곳이다. | |||
3.흉통을 다스리는데 좋고 견비통이나 오십견, 상완신경통에도 좋다. 팔을 사용 | |||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곳이 많이 사용되어 피곤하다. 대개의 사람에게 유익한 자 | |||
리이다. | |||
경추1번 옆 아 | 1.목의 대표적인 혈이고 머리의 모든 병의 진단점이다. | ||
문 옆 1.3촌 | 2.머리와 목을 연결하는 자리이기에 대개의 사람에게 유용 | ||
3.현대의학에서는 이를 C2라 하며 이곳의 이상이 있을 때 C2.3 화셋관절 | |||
의 압통과 두꺼움이 존재한다. | |||
4.C1.2.3.4의 어느 영역이라도 이상이 동반되면 반드시 C2의 이상을 생 | |||
각해라 | |||
풍지 | 담경이 양유맥과 만나 | 1.풍사가 뇌로 들어갈 때 사기가 모이는 자리이며 두판상근과 두판극근 | |
는 자리 | 의 압통이 나타나는 자리이기도 하고 발통점이 눈에 나타나기도 한 | ||
다. 눈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도움을 주는 자리 | |||
3. 무극보양뜸 혈의 의미 | |||
혈 | 위 치 | 설 명 | 적 용 병 |
백회 | 1.족태양방광경, 수소양삼초경, 족궐음간경, 독맥이 만나는 혈로써 모든 양이 모이는 머리의 정상에 있는 혈로 양기의 최고점이라고도 한다. | ||
2.백회에 계속 뜸하여 낫는 병으로는 뇌충혈, 혈압항진 등, 뇌출혈일 때는 구급요법으로 백회를 떠서 많은 효과 보왔다고 함, 고혈압에도 백회에 뜸하면 혈압이 내리고 또 귀울림, 현기증, 신경쇠약에 큰 효과가 있고, 불면증에는 취침 전에 뜸하면 좋다. 또 백회의 뜸으로 좋아지는 병으로는 건망증, 가슴답답, 가슴두근 두근, 심신이 흔들리고, 힘 빠지고 헛것이 보이는 등 신경쇠약증에 좋다. | |||
3.백회 뜸은 정신병, 간질, 두통, 일체의 뇌병에 좋으며, 코막힘, 비염, 축농증, 탈황, 치질에도 좋으며 상습 두통에는 백회 뜸이 특효다. 백회는 중추신경의 진정효과에 중요한 뜸자리며, 응용이 무한한 자리로 정신을 많이 쓰는 사람, 공부하는 학생 등에게 큰 도움이 된다. 또 차멀미, 탈모증, 비듬, 백발 방지에 효과 | |||
곡지 | 팔꿈치를 구부리고 횡문끝을 누르면 압통있는 부분 | 1.수양명대장경의 합토혈이며, 모든 내장기관에 영향을 주며 두통시 치료혈 | |
2.평소의 건강을 유지위해 삼리와 빼놓을 수 없는 자리이다. | |||
(고혈압, 중풍, 당뇨병에 좋은자리 : 뜸) | |||
3.성인병예방, 반신불수, 두통, 변비, 피부병, 상박신경통, 내장기관에 | |||
대하여 강장작용 등이다. | |||
족삼리 | 독비혈 아래 3촌 | 1.족양명위경의 합토혈이며, 몸전체 치료와 예방을 위한 보건뜸으로 가장 좋은자리(장수하는데 제일 좋은 자리) | 역상, 사지권태, |
위의 기가 모이는 곳 | 2.소아에게는 삼리보다는 신주쪽이 더 잘듣는다. | 신경통,소화불량,위경련, 변비, 안질, 빈혈, 고혈압, 반신불수, | |
강장구혈 | |||
기해 | 선천의 기가 모이는 곳이라 하여 기해 | 1.원기의 바다, 남자의 정력의 바다를 이루는 곳 | |
2.장질환, 맹장염, 만성복막염, 신장질환, 방광질환, 신경쇠약, 몽정, 음위, 임질, 야뇨, 남녀생식기 질환, 불임증, 자근근종, 요통 등이며 다리가 시린데도 효과, 급성맹장염으로 통증이 아주 심할 때 20장 이상 다장 | |||
관원 | 배꼽아래 원기를 | 1.남자는 정력이 좋아야 매사에 의욕이 있고 튼튼하고, 여자는 자궁이 튼튼해야 건강하다. 관원은 일명 단전이라 하는데 이곳에 뜸을 뜨면 다리의 삼음에 영향이가고 칠.팔십된 노인도 회춘이 된다함 | |
지니고 있는 곳 | 2.커져가는 선천의 기운 즉 생명의 뿌리인 정력을 다시살려 일으켜 병을 오지 못하게 한다. 여기서 정력이라고 보통 말하는 것은 양기를 말함이고 이 정력은 모든 힘의 원천이므로 쓰는데 따라 그 결과가 각각 달라지므로 좋은 일에 자기 정력을 쓰도록 할 것이며 관원에 뜸을 하면 선천의 원기와 병을 이길 수 있는 저항력인 정력을 길러 주는 곳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 ||
3. 5푼~1촌 정도의 침을 찌르며, 뜸 효과는 비뇨생식기 질환, 남정축여혈축 등이다. | |||
고황 | 족태음방광경 제2선에 있으며, 4흉추 옆에 있고 천식과 기침에 효과가 있는 혈 고황에 뜸시 기해와 삼리에 꼭 뜸을 같이해야한다. | 1.옛사람들은 병이 고황에 들면 불치의 병이라 하여 중요한 곳으로 보았다. 고황은 음식물의 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는 혈로 마른 사람을 보면 대개 소화불량이 있거나 잘 먹기는 하지만 살이 찌지 않는다 하는데 이런 사람들에게 뜸을 하여보면 몇 달 후에 쌀값 물어 달라고 하는 사람이 될 정도로 건강하여 진다. 이런 것으로 보아 고황은 장수 혈이며, 수십년 고생하는 사람이 고황에 뜸을 하고 남들이 보고 달라졌 다고 하며 자신도 새로운 인생을 사는 것 같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 |
2.침 : 5푼~8푼 | |||
3.고황 뜸 효과 : 어깨 팔 신경통, 어깨가 굳어진데, 등근육통, 심장병, 신경쇠약, 반신불수, 위산과다증, 늑간신경통, 매독 등에 효과 | |||
폐유 | 제3흉추 옆 1.5촌 | 1.족태음방광경 제1선에 있으며, 위치가 폐에 가까이 있어 폐경의 기가 모여 드는 혈이다. | |
5푼~1촌정도 침 | 2.고서에 말하기를 사람이 늙으면 제일 먼저 이 근처가 뻣뻣하고, 가렵고, 찬바람이나고, 답답하기고 하여 신경통이 쉽게 생기는 곳이 바로 폐유인 것이다. 그래서 고혈압과 함께 뜸을 하면 장수한다고 하고 항상 뜸을 하여 무병장수 할 수 있다. 이곳을 뜸하면 종기, 부스럼, 옴 등의 예방으로도 좋다고 한다. | ||
폐에 있는 사(邪:열)를 치료하므로 폐유 | 3.폐유에 뜸하면 감기의 예방과 치료, 기관지염, 천식, 백일기침, 폐결핵,, 호흡기질환, 폐염, 두통, 목이 뻐근할 때, 뇌출혈 후유증, | ||
콧병, 편도선염, 인두염, 홍역, 견비통, 늑간신경통, 늑막염, 심계항 진증, 갑상선염, 임파선염, 정력증진, 소화불량 등에 효과 | |||
중완 | 신궐과 중정 중앙, 위의 중앙부에 위치, | 1.흔히들 양기가 좋아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 깊은 뜻은 기운이 좋아야 한다는 말일 것이다. 이 양기란 기운을 만들어내는 신진작용을 말함이다. 즉 신진작용을 맡은 위와 대사작용을 하는 대장과 방광도 양에 속한육부의 하나이다. 이와같이 신진대사를 하는 장기들이 좋아서 균형맞게 잘 받아들이고 잘내보내면 병을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신진대사가 잘되어야 한다고 하였고이 두 양의 기를 합하여 양기라 한 것이다. 그래서 모든것을 받아드리는 위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부위가 중완 | 급성위염, 위경련, 위하수, 위궤양, 복창, 복명, 복통, 구토, 변비, 식욕부진, 고혈압, 정신병, 위출혈 등 |
족양명위경의 모혈이며 팔회혈 의 부회형이다. | |||
중극 | 1.이 혈의 심부는 수액을 저장하는 방광에 가깝고, 방광의 기가 모이는 모혈이므로 옥천이라고도 한다. | ||
2.중극에 뜸을 하여 낫는 병으로는 방광염, 전립샘염, 골반염, 월경통, 양위(발기부전), 대하, 산후자궁신경통, 자궁근종 등에 효과가 있다. | |||
3.방광의 모혈로 방광의 병이 가장 잘 나타나는 위치에 있어 오줌과 관련된 모든 병을 다스린다. | |||
수도 | 1.이 혈의 심부에 있는 방광과 소장은 수로 도로라 생각했다. 주로 배뇨곤란, 각종 부종을 치료하기 때문에 수도라고 하였다. | ||
2.수도의 가운데 관원은 소장의 모혈인데 소장이 맡은 일은 맑고 흐림을 가려 물을 빨아들이는 일이다. 그 옆에 물(水液)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가 수도이다. | |||
3.관원 옆 2촌에 위치, 침은 5푼에서 1촌 정도 바로 찌른다. | |||
4.수도에 뜸시 효과 : 소복창만(아랫배에 물이 찬 병), 신염, 부종, 요폐, 방광염, 탈장, 월경곤란, 정계염, 변비, 자궁염, 불임증, 생리통 등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