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행복하게/建康 運動

진식 태극권

hanngill 2008. 4. 5. 04:49

진식 태극권을 중심으로
1995년 현재 69살인 Ma Hong선생은 태극권 전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내용으로 다음의 세가지를 강조하였다.

첫째 - 정신집중(mind-intent), 둘째 - 내공(Internal Power), 셋째 - 육체적 기술(Physicla skill). Ma Hong은 33년간 태극권을 공부해 왔으며 처음에는 8년간 양가태극권을 배우기도 하였
다. Ma hong은 진조규(Chen zaho kui)선생의 전수로 알려져 있다. 그는 모든 사람들이 육체적 운동만으로 힘을 기를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그것은 큰 오산이며, 진정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긴장을 푸는 방법부터 배워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긴장의 해소만이 모든 신체에 산재해 있는 부담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긴장해소 (Relax)에서만 그치면 이것을 힘으로 운용할 수 없다. 단순한 단전호흡은 긴장해소에는 좋을지 몰
라도 신체를 아주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를 운용할 줄 아는 방법을 우리는 태극권을 통해 배워야 한다. 이때만이 불을 붙히면 언제나 터질 수 있는 가스스토브 처럼 우리 신체를 진정으로 단련(정신적 + 육체적) 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태극권의 진수는 단전에 있는 내공을 발전시킴에 있다. 태극권의 동작에는 힘을 폭발시키는 동작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의 소용돌이 치는 동작(전사)도 있다. 힘을 쓰기전에 먼저 긴장을 완화시키고 모든 힘을 한점에 모아야 한다. 상대적인힘, 즉 한쪽 몸이 앞으로 가면 다른쪽은 뒤로 또는 밑으로 가고 한손으로 상대를 공격 하면 다른 손은 뒤로 물러나야한다. 이점은 언제나 상당히 중요시 된다. 태극권 수련중에 모든 관절(손목, 팔굽, 고관절, 무릎, 발목 등)은 독을 나선형으로 뿜는 뱀처럼 되어 있어야 한다. 모든힘은 단전에서 시작되고 기의 운용은 동작의 움직임과 일치되어야 한다. 동작은 다음으로 구성되어있다. :
circular, spiral, turning, vibrating, wavelike, shaking, following, expending, front and back and shrinking 등 (원형, 나선형, 회전, 진동, 파동, 흔들기, 따라가고, 팽창, 앞뒤로 피하기(앞뒤로 움츠리기 등)이 동작을 통한 단전의 강화는 내공인 Jing(경)을 개발하게 된다. 양가태극권에서는 기를 단전에 모으는데 그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태극권을 수련 함에 있어서 다음의 네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수련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1. 어디서 힘이 나오는가? (Know where the power comes from)
2. 어디서 氣의 선이 시작되고 흐르는가? (Know where the energy line starts and goes)
3. 어디서 氣의 전환이 ? (Know where is the transmission of energy)
4. 어디서 이 힘을 폭발시킬 것인가. (Know where is the explosing for the power)

마홍선생(Ma Hong)은 호흡훈련을 통해서 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호흡훈련은 가슴과 배가 수축, 팽창하는 것을 도와준다. 기는 몸속 깊숙히 있는 내부의 근육을 이용하여 이 근육이 손을
운용하는 것이다. 안쪽의 근육(inner muscle)을 길러야만 바깥쪽의 근육(outside muscle)이 조화를 이루어 몸이 부드러워 지는 것이다.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 Ma Hong 자신도 호흡문제 때문에 양식태극권을 먼저 공부하게 되었다. Ma Hong은 1972년부터 1980 년까지 때로는 진조규의 집에 머물면서 그로부터 진가태극권을 전수 받았다. 태극권은 음양의 조화를 그 바탕으로 한다. 요즈음 어느것이 진짜 태극권인지 논쟁이 많은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1. 태극권의 전수혈통(가계)을 본다.( look to see where the from comes form it's lineage. )
2. 태극권 이론이 그 태극권의 움직임과 얼마나 일치 하는지 살펴라. ( look to see how well the theory of Tai-chi matches the movement. )
3. 각각의 움직임에 대한 '명칭'을 잘살피고 그것이 어떻게 무술로서 형상화 되었는지를 살펴 보아라.
( look for the meaning of the movemints and how they are used as a martial art. )

모든 고대의 문헌으로부터 중국의 모든 태극권은 진가태극권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입증되어 지고 있다. 나는 이러한 진가태극권이 태극권의 이론(강하고 부드러움, 빠르고 느림, 열리고 닫힘, 가득차고 텅빈)을 가장 잘 형상화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진가태극권을 배우기 시작했다. 원래의 진가태극권은 전투를 하기위한 무술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사람들은 몸의 건강을 위한 운동(보건 체조, 기공체조)으로 변형시켰다. 진가태극권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모든 것을(잡고 넘어트리고, 공격하고, 던지고, 꺽고, 때리고)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손의 움직임은 진정한 권법의 의미를 담고 있다. 손의 움직임은 뱀의 움직임과 매우 흡사하다. 요사이의 사람들은 단순한 형(form)의 연습에 치중하지만 '진조규'선생은 진가태극권을 배우기 위한 방법의 일환
으로 태공과 외공을 함께 기르기 위하여 다음의 네가지 방법을 역설하였다.

1. 올바른 자세 : 자세를 교정하라. 그리고 내공과 외공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추수 훈련 : 두사람이 힘을 기르기 위해 하는 추수를 연습해야 태극권의 흐름이 빨리 파악된다.

3. 구분 훈련 : 83개의 연속동작을 300개의 기본동작(구분동작)으로 분류하여 가르쳤다.
진조규선생은 개개의 동작을 가지고 각 동작마다 따르는 서고, 힘을 빌 어쓰고, 움직이고, 뛰고, 던지는 동작을 가르치곤 했다. 힘을쓰는 방법은 뛰고, 차고, 던지고 하는 것처럼 다양하다.

4. 기공 훈련 : 진선생은 선상태에서 100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으로 이루어진 (잡고, 밀고, 끄는 기술들) 기공동작들을 연습하곤 했다. 이런 동작들은 호흡과 몸의 움직임과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이렇게 조화를 이룰 때 손의 기술은 폭 발적인 위력을 갖게된다.
1) 팔뚝만한 태극척(봉)을 사용했다. 이것은 팔과 손목을 꼬고 굽히기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손놀림은 엉덩이와 단전 그리고 다리의 움직임과 조화를 이루었다. 태극봉은 금나 (Chin Na) 연습과 상대방의 힘을 빌려 쓰는데 도움이 된다.
2) 간(4미터의 간)을 사용했다. - 두간법(중국발음:또우간) - 간(봉)을 이용한 일종의 발경 법
3) 기타 - 진조귀선생은 샌드백을 치든 무거운 역기를 들어 올리든 태극권의 이치에 부합되 는 운동방식을 따른다면 좋다고 하였다.

拳法으로서의 太極拳의 진수는 :

순간적으로 빠름에서 느림으로, 공허함에서 가득참으로, 열린상태에서 닫힘상태로 전환할 수 있 는 능력을 배양 하는데 있다. 이것을 통해서 진정한 격투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한쪽발로 몸무게의 60%의 힘을 지탱하고 있다면 다른쪽 발은 비어있는 것이다.
오른손으로 공격하면(가득참) 오른발은 비어 있어야 한다. 네가 만약 오른손 주먹을 가지고 힘을 가래쪽으로 발산하려는 동시에 오른발이 앞으로 나간다면 너의 오른편으로 무게가 너무 쏠려 상 대방이 너를 쉽게 넘어 뜨릴 수 있게 된다. 몸의 상태를 음양의 조화, 즉 태극에 이치에 맞게 빠 르게 바뀔 수 있는 능력은 상대방의 힘의 운용에 너로 하여금 귀를 기울이게 한다. 그림으로써 상대방의 힘을 빌어 쓸 수 있게 된다. (태극권의 진수)태극권은 적으로부터 힘을 빌리는 것을 좋 아한다. 결국에는 적이 공격하지 않으면(힘을 쓰지 않으면) 너는 공격을 할 수 없게 된다. Ma선생은 진가태극권에서의 둥글고(round) 각진(square)동작들이 이런 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둥글고 각진동작은(round and square) 가득차고 조직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상은 1995년 미국에서 발행되는 격월간 잡지 Tai-Chi에서 인터뷰내용을 발췌한 것임 *

'건강하고 행복하게 > 建康 運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 절주 원칙  (0) 2008.04.15
Lifestyle  (0) 2008.04.06
Muscle exercise Body Map  (0) 2008.03.04
하루 일과는 건강운동으로 시작하라  (0) 2008.03.02
The Pump, The Burn.  (0) 2008.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