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physiology and medicine, hypotension is abnormally low blood pressure. This is best understood as a physiologic state, rather than a disease. It is often associated with shock, though not necessarily indicative of it. Hypotension is the opposite of hypertension, which is high blood pressure. Blood pressure is the force of blood pushing against the walls of the arteries as the heart pumps out blood. If it is lower than normal then it is called low blood pressure or hypotension. Pressure below 90/60mmHg is considered low.
The cardinal symptom of hypotension is lightheadedness or dizziness. If the blood pressure is sufficiently low, fainting and often seizures will occur.
Low blood pressure is sometimes associated with certain symptoms, many of which are related to causes rather than effects of hypotension:
- Chest pain
- Shortness of breath
- Irregular heartbeat
- Fever higher than 101 °F (38.3 °C)
- Headache
- Stiff neck
- Severe upper back pain
- Cough with phlegm
- Prolonged diarrhea or vomiting
- Dysphagia
- Dysuria
- Foul-smelling urine
- Adverse effect of medications
- Acute,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 Seizures
- Loss of consciousness
- Profound fatigue
- Temporary blurring or loss of vision
- In some cases loss of hair
- Ehlers-Danlos Syndrome
Low blood pressure causes can be due to hormonal changes, widening of blood vessels, medicine side effects, anemia, heart & endocrine problems.
Reduced blood volume, called hypovolemia, is the most common mechanism producing hypotension. This can result from hemorrhage, or blood loss; insufficient fluid intake, as in starvation; or excessive fluid losses from diarrhea or vomiting. Hypovolemia is often induced by excessive use of diuretics. Other medications can produce hypotension by different mechanisms.
Decreased cardiac output despite normal blood volume, due to severe congestive heart failure, large myocardial infarction, or bradycardia, often produces hypotension and can rapidly progress to cardiogenic shock. Arrhythmias often result in hypotension by this mechanism. Beta blockers can cause hypotension both by slowing the heart rate and by decreasing the pumping ability of the heart muscle. Varieties of meditation and/or other mental-physiological disciplines can create temporary hypotension effects, as well,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unusual.
Excessive vasodilation, or insufficient constriction of the resistance blood vessels (mostly arterioles), causes hypotension. This can be due to decreased sympathetic nervous system output or to increased parasympathetic activity occurring as a consequence of injury to the brain or spinal cord or of dysautonomia, an intrinsic abnormality in autonomic system functioning. Excessive vasodilation can also result from sepsis, acidosis, or medications, such as nitrate preparations, calcium channel blockers,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ACE inhibitors. Many anesthetic agents and techniques, including spinal anesthesia and most inhalational agents, produce significant vasodilation.
Blood pressure is continuously regulat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using an elaborate network of receptors, nerves, and hormones to balance the effects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hich tends to raise blood pressure, and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which lowers it. The vast and rapid compensation abil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llow normal individuals to maintain an acceptable blood pressure over a wide range of activities and in many disease states.
Syndromes
Orthostatic hypotension, also called "postural hypotension", is a common form of low blood pressure. It occurs after a change in body position, typically when a person stands up from either a seated or lying position. It is usually transient and represents a delay in the normal compensatory abil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t is commonly seen in hypovolemia and as a result of various medications. In addition to blood pressure-lowering medications, many psychiatric medications, in particular antidepressants, can have this side effect. Simpl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measurements while lying, seated, and standing (with a two-minute delay in between each position change) can confirm the presence of orthostatic hypotension. Orthostatic hypotension is indicated if there is a drop in 20 mmHg of systolic pressure (and a 10 mmHg drop in diastolic pressure in some facilities) and a 20 bpm increase in heart rate.
Neurocardiogenic syncope is a form of dysautonomia characterized by an inappropriate drop in blood pressure while in the upright position. Neurocardiogenic syncope is related to vasovagal syncope in that both occur as a result of increased activity of the vagus nerve, the mainsta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other, but rarer form, is postprandial hypotension, which occurs 30–75 minutes after eating substantial meals. When a great deal of blood is diverted to the intestines (a kind of "splanchnic blood pooling") to facilitate digestion and absorption, the body must increase cardiac output and peripheral vasoconstriction in order to maintain enough blood pressure to perfuse vital organs, such as the brain. It is believed that postprandial hypotension is caus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not compensating appropriately, because of aging or a specific disorder.
Diagnosis
For most adults, the healthiest blood pressure is at or below 115/75 mmHg. A small drop in blood pressure, even as little as 20 mmHg, can result in transient hypotension.[1]
Evaluation of neurocardiogenic syncope is done with a tilt table test.
Treatment
The treatment for hypotension depends on its cause. Chronic hypotension rarely exists as more than a symptom. Asymptomatic hypotension in healthy people usually does not require treatment. Adding electrolytes to a diet can relieve symptoms of mild hypotension. In mild cases, where the patient is still responsive, laying the person in dorsal decubitus (lying on the back) position and lifting the legs will increase venous return, thus making more blood available to critical organs at the chest and head. The Trendelenburg position, though used historically, is no longer recommended.[2]
The treatment of hypotensive shock always follows the first four following steps. Outcomes, in terms of mortality, are directly linked to the speed in which hypotension is corrected. In parentheses are the still debated methods for achieving, and benchmarks for evaluating, progress in correcting hypotension. A study[3] on Early Goal Directed Therapy provided the delineation of these general principles. However, since it focuses on hypotension due to infection, it is not applicable to all forms of severe hypotension.
- Volume resuscitation (usually with crystalloid)
- Blood pressure support (with norepinephrine or equivalent)
- Ensure adequate tissue perfusion (maintain SvO2 >70 with use of blood or dobutamine)
- Address the underlying problem (i.e. antibiotic for infection, stent or CABG for infarction, steroids for adrenal insufficiency, etc...)
Medium-term (and less well-demonstrated) treatments of hypotension include:
- Blood sugar control (80-150 by one study)
- Early nutrition (by mouth or by tube to prevent ileus)
- Steroid support
저혈압 (low blood pressure)
저혈압이란 혈압계로 전완동맥의 혈압을 측정했을 때 혈압이 정상(수축기 혈압 120mmHg, 확장기 혈압이 80mmHg)보다 낮게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혈압계로 측정한 결과 저혈압 범위(수축기 혈압이 100mmHg이하, 확장기 혈압이 60mmHg 이하인 경우)에 속한다.
이 경우에 별다른 이상 징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저혈압에 의한 특징적인 증상을 명확히 기술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저혈압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실신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와는 반대로 어지럽거나 기운이 없고, 쉽게 피곤한 증상 등이 나타날 때 흔히 빈혈이나 저혈압을 의심해 보는데, 검사를 시행해 보면 빈혈 징후가 발견되지 않고 측정한 혈압도 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저혈압의 증상은 현기증이나 두통이며, 전신이 무기력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불면증상과 서맥(맥박이 서서히 뛰는 것), 변비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하면 시력장애나 구역질,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저혈압은 원인 및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되며, 관련 증상도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1) 증후성 또는 속발성 저혈압
여러 가지 형태의 심장 질환이나 내분비질환 등의 기저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저혈압이며, 기저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2) 본태성 저혈압
속발성과는 달리 심혈관계에 병적인 증상이 없고 명확한 근본 원인이 없는 저혈압이다. 일반적으로 저혈압이라고 하면 이러한 형태를 의미한다. 현기증, 두통, 팔다리의 저림, 전신 무기력, 불면 등을 호소하고, 서맥, 변비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하면 시력장애나 구역질, 실신 등의 증상들이 나타난다.
3) 기립성 저혈압
누워 있거나 혹은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체위를 변환시키거나 장시간 동안 서 있는 경우에 혈액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하반신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량이 감소하게 되지만 이때 인체 내의 신경반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일정한 혈압이 유지될 수 있다. 이 혈압 유지 반사기구에 장애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저혈압을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한다.
기립성 저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그 증상이 비교적 명확하다. 전신 혈압이 낮아지면서 결과적으로 뇌나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고, 이로 인해 현기증이나 시력장애, 구역질, 때로는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갑자기 일어날 때, 장시간 서 있을 때, 혹은 화장실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보다가 갑자기 속이 메스껍거나 어지럽고 온몸에 힘이 빠지면서 앞이 캄캄해져 쓰러지게 되는 경우가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경우 의식을 잃어버리는 기간은 대개 수 초 내지 수 분이고, 의식이 회복되면 다른 증상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
기립성 저혈압의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옆으로 누워서 안정을 취하면 간단히 회복될 수 있다.
관련 신체기관
심장, 혈관, 신경계, 내분비계, 뇌, 척수
치료
속발성 저혈압이나 쇼크와 관련 되어 발생하는 저혈압의 경우 그 원인을 찾아서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액 요법을 통한 체액 보충, 혈압을 높여주는 약물(교감 신경 자극제)이나 순환 호르몬제, 혈압 조절제 등을 사용한다.
약물요법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적당한 운동,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원활한 통변 등의 자기 관리에 신경 쓰는 것도 필요하다.
기립성 저혈압 환자에게서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옆으로 누워서 안정을 취하면 대부분 간단히 회복된다. 그러나 본태성 저혈압과 같이 저혈압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고혈압과 달리 시간이 지나도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합병증이 생기는 일이 거의 없다. 따라서 특별히 불편한 증상이 없고 이차적 원인 질환이 없는 저혈압의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혈압을 높이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으며 크게 염려하지 않고 일상생활에 임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저혈압 환자가 생활하는 데 어려울 정도로 기운이 없다면 고칼로리 고단백 식이가 권장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적당한 운동,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원활한 통변 등의 자기 관리 역시 필요하다. 기저 원인이 없는 본태성 저혈압은 별다른 예방 방법이나 주의 사항이 없지만,
기립성 저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의 사항을 잘 지키면 심각한 증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평소 식사 시에 위장 장애가 초래되지 않는 범위에서 염분과 수분(하루 2~2.5리터)을 충분히 섭취한다.
2)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섭취하는 칼로리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며 3대 영양소와 함께 비타민, 미네랄도 충분히 섭취한다.
3)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이뇨제, 혈관확장제, 안정제 등의 약물 복용을 가능한 한 금한다.
4) 술은 혈관을 확장 시킬 수 있으므로 금주한다.
5) 취침 시 머리를 15~20도 이상 올린 상태로 잔다.
6) 아침에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잠에서 깬 후 수 분간 침대에 걸터앉아 있다가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좋다.
7) 뜨거운 물로 오랫동안 샤워를 하거나 장시간 서 있는 것은 좋지 않다.
8) 장시간 서 있을 때는 다리에 정맥혈이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해 탄력이 있는 스타킹을 신도록 한다.
9)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을 한다. 그러나 과격하거나 심한 운동은 피한다.
10) 쓰러질 것 같은 증상이 있으면 그 자리에 계속 앉아 있거나 서 있지 말고 눕도록 한다. 누워 있으면 대부분 실신까지 진행되지는 않는다. 증상이 없어져도 바로 일어나지 말고 충분히 안정을 취한 뒤에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좋다.
만일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재발이 계속되면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긴다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저혈압 방지를 위한 약물을 복용할 수 있다.
저혈압 관련 질병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심장 기능, 혈관 이상: 혈류장애, 심장근육 질환, 부정맥, 전도 장애, 판막증, 좌심실 기능장애, 심근염, 심낭염, 심막염, 대동맥 협착, 정맥 폐색
2) 대사성, 내분비 질환: 당뇨, 애디슨병, 점액수종, 전해질 이상 염분 소실 신변증, 요붕증, 부신피질 부전, 저알도스테론 혈증, 크롬친화세포증, 심한 칼륨 소실
3) 혈관 및 신경계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당뇨병성 신경증, 자율신경계 이상 파킨슨 병
4) 혈관 내 용적 부족: 출혈, 화상, 구토 또는 설사, 패혈증, 감염증, 독극물 중독, 신경성 식욕부진에 의한 영양 실조
5) 정맥 내 저류: 알코올 섭취, 내장 혈관의 식후 혈관 확장, 골격근 혈관의 확장과 동반된 왕성한 운동, 고온 환경, 뜨거운 물 샤워나 목욕, 장시간 옆으로 누워있거나 서 있는 경우
6) 심장 기능 이상: 혈류장애, 심장근육 질환, 부정맥, 전도 장애, 판막증, 좌심실 기능장애, 심근염, 심낭염
관련질병
혈류장애, 심장근육 질환, 부정맥, 전도 장애, 판막증, 심근염, 심낭염, 심막염, 대동맥 협착, 정맥 폐색, 당뇨, 애디슨병, 점액수종, 요붕증, 부신피질 부전, 저알도스테론 혈증, 크롬친화세포증,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당뇨병성 신경증, 파킨슨병, 출혈, 화상, 구토 또는 설사, 패혈증, 독극물 중독, 혈류장애 등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하는 인생 > 西醫學 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Mediterranean diet (0) | 2010.08.23 |
---|---|
Dementia (0) | 2010.08.23 |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 (0) | 2010.08.13 |
Pneumonia (0) | 2010.08.13 |
High Blood Pressure (0) |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