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速筋 무산소 운동 뒤에 遲筋 유산소 운동을 해야 젖산이 쌓이지 않는다.
2. 速筋운동과 遲筋운동을 병행해 균형있는 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速筋 무산소 운동 뒤에 遲筋 유산소 운동을 해야 젖산이 쌓이지 않는다.
- 속근 무산소 운동만 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무산소 운동은 근육을 파괴하고,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피로물질인 젖산을 발생하며, 정상세포가 암 세포와 같은 성질로 변경 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고, 사람의 수명을 단축 시킬 위험을 가지고 있다.
속근운동은 무산소운동으로 일시적으로 강한 힘을 쓰는 강도가 강한 운동이다.
지근운동은 유산소운동으로 지속적으로 충분한 산소 공급을 하면서 하는 강도가 비교적 약한 운동이다.
유산소운동을 하는 중에도 강한 힘을 발휘할 때는 속근이 작용하여 무산소운동이 따르게 된다.
속근무산소운동과 적근유산소운동을 동시적으로 병행할 때에 속근운동으로 발생한 젖산을 지속적으로 분해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피로가 덜 쌓이고 최대의 운동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Lactate threshold를 넘지않도록 한다, 속근 무산소운동을 하더라도 한번에 2, 3초간, 모두 합하여 30초를 넘지 말아야)
골격근육은 수축특성, 대사특성, 역학적특성에 따라 속근 fast-twitch muscle fiber, 지근 slow-twitch muscle fiber, 그리고 그 중간성질을 가진 중간근으로 분류된다.
속근은 흰색으로 보이므로 백근이라고도 한다.
지근은 혈액중의 산소운반의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으로 부터 산소를 받아들이는 미오글로빈이나 모세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붉게 보이므로 적근이라고도 한다.
중간근은 중간정도이므로 핑크색으로 보이는 근육이다.
속근과 지근은 근육중에 모자이크상태로 섞여 있어 완전속근 완전지근은 없다.
속근과 지근의 구성비율은 태어날때부터 결정되어 있어 훈련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중간근의 성격은 속근운동으로 속근성을 기르게 되며 적근운동으로 적근성을 때게 된다.
근육에 따라 그 구성비율이 다르다.
mobilizer muscle에는 속근이 많고, stabilizer 근육에는 지근이 많으며,
팔 다리 근육에는 속근이, 몸통에 있는 근육에는 지근이 많다.
장거리 달리기를 하면 지근이 발달하여 다리가 가늘고, 단거리 달리기를 많이 하면 속근이 발달하여 다리가 굵게 된다.
속근의 에너지원으로는 근육속에 있는 Glycogen이다. glycogen> glucose> ATP 로 되어 energy를 발산하고 lactic acid (ADP)를 남긴다.( * 여기에서 새로운 이론은 lactic acid가 불어난 mitochondria로 들어가 산소와 결합해서 폭발적인 energy를 발산한다고 한다.2010.5.10 )
지근의 에너지원으로는 Glucose과 Fat, 그리고 속근사용시 만들어진 lactic acid 가 분해 lactate clearance (ADP ->ATP)되어 쓰인다.
지근을 주로 사용하는 마라톤에서 경사를 오르거나 속도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속근에서 발생하는 젖산을 얼마나 빠르게 분해하여 지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속근을 너무 사용하여 발생한 피로물질인 젖산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으면 지쳐서 더 이상 달릴 수 없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근이 잘 발달되어 있으면 젖산분해가 잘되어 유리하게 되고, 속근이 적당히 발달되어 있으면 강한 힘이나 스피드를 낼 수 있어 유리할 것이다.
지근 운동과 속근 운동은 운동 목적에 맞게 적당히 병행하는 것이 운동 효과에도 좋고 신체나 정신 건강에도 좋을 것이다.
* 새 이론은 젖산이 피로물질이 아니라 새로운 에너지원이라 한다.2010.5.10.
HANNGILL
2009. 8. 3.
* The lactate threshold (LT) is the exercise intensity at which lactic acid starts to accumulate in the blood stream.
* 속근운동은 다 무산소운동인가?
아니다. 속근 운동을 하는 중에도 적근이 동시에 운동하게 된다. 속근운동도 약하게 천천히 적당히 하면 유산소운동이 된다. 산소차입이 없고 젖산이 쌓이지도 않는다. 또 훈련의 정도에 따라 lactate threshold가 높아져서 hight intensity에서도 glicogen이 분해하면서 발생한 pyruvate가 적근의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 (at a fork road) aerobic energy system이 된다(lactic acid가 생기지 않고 ).
http://blog.daum.net/hanngil/12405957
http://cafe.daum.net/bshealthclub/J98J/48
-------------------------------------------------------------------------
速筋운동과 遲筋운동을 병행해 균형있는 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아름다운 몸매, 활기 넘치는 몸매. 날렵한 몸매, 활동적인 몸매는 속근과 지근이 고르게 발달되어 있는 몸매이다.
강한 힘을 쓸 수도 있고, 지속적인 힘을 발휘 할 수 있으려면 두가지 근육을 다 강화 시켜야 하는 것이다.
속근 즉 백근만을 발달시키면 울통불퉁한 거대한 살덩어리에 불과한 괴물이 되고 만다.
지근 즉 적근만을 발달 시키면 훌쭉한 마른 사람되 되고 만다.
속근을 발달 시키려면 무거운 무게로 짧고 강하게 운동을 해야 한다.
지근을 발단 시키려면 적당히 가벼운 무게로 많은 회수를 하여 기분 좋은 상태로만 운동을 한다.
먼저 속근 운동을 하여 근량을 늘리고
다음 지근 운동을 하여 근육의 지구력을 늘려 주도록 한다.
속근과 지근은 서로 변환를 하지 않느다.
그러므로 운동을 따로 해 주어야 한다.
운동의 목적이 모든 근육을 적당히 발달시키고
신체의 기능이 원활하게 함에 있다.
운동도 여러가지로 변화를 주면서 고루 고루 해야 한다.
HANNGILL
2009.4.24
http://cafe.daum.net/bshealthclub/J98J/4
'건강하고 행복하게 > 建康 運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he Lactate Threshold (0) | 2009.08.07 |
---|---|
★ Lactate and Thresholds for Training (0) | 2009.08.03 |
★ AEROBIC EXERCISE (0) | 2009.08.03 |
★ Anaerobic exercise (0) | 2009.08.03 |
Benefits of Inversion Therapy (0) | 2009.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