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행복하게/建康 運動

MUSCLE EXERCISE / CARDIOVASCULAR EXERCISE

hanngill 2009. 5. 25. 02:36


모든 운동 WORKOUT은  최고 맥박수의 80 % 이내에서 유산소 운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무산소운동은 수명을 단축시키고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악성세포질화 할 우려가 많다.
근육운동도 심폐내장운동도 다 유산소운동이어야만 한다.


나 (hanngill)는 건강운동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로 한다.

 

MUSCLE EXERCISE / CARDIOVASCULAR EXERCISE

 

 

1. MUSCLE EXERCISE   근육운동, 또는 WEIGHT EXERCISE.


근육운동은 관절운동이다. 근육을 수축하여 관절을 움직여서 신체활동을 하는 것이 운동이다. 전신 운동을 하려면 모든 관절을 가능한 범위로 움직여서 모든 근육을 사용해 주어야한다.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면 근육도 강화되고 힘줄이나 인대가 강화되며 뼈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근육 강화운동은 약간의 OVERLOAD가 필요하다. 특별히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려면 주기적으로 계획을 세워서 해야 하는 것이다. 근육( 주로 白근)을 키우기 위해서 웨이트 운동을 하는 경우에 운동 강도를 높혀 즉 무게, 회수, 세트수, 시간을 높혀 천천히 짧은 시간동안  운동을 해 주는 것이데 이 경우에 MUSCLE EXERCISE 근육운동이라 한다.  특별한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면 목적근육의 근섬유가 새로운 강한 부하에 적응하기 위해서 조금씩 강화되어 나간다.
overload는 미세하게 점증하여 나가서 근섬유에 미세한 injury가  일어나도록 해야할 것이고, tendon, ligament 가 늘어나거나 신경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여기에는 적근운동과 백근운동이 있다.
적근운동은 근 지구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으로 장시간 지속하여 가볍게 하는 운동을  말한다.
백근운동은 순간적 폭발적 큰 힘을 발휘하는 백근을 강화하는 운동으로서 무겁게 천천히 단 시간에 근육에 미세한 상처를 주는 운동이다.
 
참고: * 웨이트 운동을 가볍게 빠르게 하면 白근 보다는 赤근 강화 운동이 된다.   이 때는 근력운동과 심폐운동이 동시에 이루어 진다.

 


2. CARDIOVASCULAR EXERCISE  심혈관운동,


심혈관운동(또는 심폐내장운동)은  골격과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이 아니라 오장육부 (내장)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내장이나 피하에 저장된 지방에너지를 연소시켜 심장과 혈관을 보호하고 내장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운동을 말한다.
여기에는 에너지 소모형 운동으로서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줄넘기, 허리링돌리기 등이 있다.

 

 

   나는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을 구별하여 심폐기능 운동은 유산소 운동이라 하고, 근육 운동은 무산소운동이라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음을 표현한바 있다.
또한 무산소 운동은 몸에 해로우니 하지 말아야 하고 모든 운동은 유산소 차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리고  유산소 운동 기구 와 무산소 운동기구로 분류하는 것도 반대한 바 있다.

모든 운동이 다 강도를 높혀 최대 맥박수의 80 % 이상으로 가면 산소 결핍으로 인하여 무산소 운동체제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고,
그 이하에서는 깊은 복식호흡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유산소 운동이 된다..

 

HANNGILL

2009.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