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류권(troposphere) : 지표 ∼ 약 10km |
대류권의 높이는 계절과 위도에 따라 변한다 (적도지방 16∼17km, 중위도 지방 10∼ 12km, 극지방 6∼7km정도로 더운 지방일수록 높아진다.)
높이에 따른 기온 감소율은 6.5/km이다
하층에 따뜻한 공기가 있고 상층엔 찬 공기가 있어 대류에 의한 혼합 작용이 활발하다
구름이나 비, 눈 등의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
성층권(stratosphere) : 고도 10km ∼ 약 50km |
성층권에는 오존층이 있어 태양 복사 에너지 중 파장이 0.2 ∼ 0.3 μm인 자외선을 흡수한다. 성층권하부에서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상부에서는 높이에 따라 기온이 상승 하여 고도 50km에서 최대 온도가 나타난다.
찬 공기가 아래에 있고 따뜻한 공기가 위에 있어 대기가 매우 안정하므로 공기의 혼합작용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구름이나 눈 등의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중간권(mesosphere) : 고도 50km ∼ 약 80km |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감소하여 고도 80km부근에 대기권 중에서 최저 온도가 나타난다.
대류 현상은 나타나지만 수증기가 거의 없어 기상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